산업 산업일반

"철도산업, 해외시장 개척땐 수억弗 수주"

"철도 관련기관·차량 제작사등 공조체계 필요 " 지적도<br>'철도산업 해외시장 진출 활성방안' 대토론회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이 16일 여의도 국회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철도산업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 정책대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김동호기자

우리나라 철도산업도 해외시장 개척을 적극 추진할 경우 수억달러의 대규모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16일 건설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ㆍ한국철도시설공단ㆍ서울경제 후원으로 열린 ‘철도산업 해외시장 진출 활성방안 정책 대토론회’에서 주제 발제자인 강영진 인하대 황해권수송시스템연구센터(CTYS) 소장은 “후발 개도국들의 경제개발로 철도건설이 붐을 일으키고 있어 중국 등을 중심으로 해외 철도시장을 개척할 경우 대규모 수주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강 소장은 이어 “세계 철도시장은 총 700억달러(2004년 기준) 중 인프라가 350억달러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차량 270억달러, 시스템 80억달러 등의 규모를 보이고 있고 고속철도차량시장 규모는 약 17억달러로 전체 차량시장의 6%, 연평균 성장률도 6% 정도로 시장전망이 밝은 편”이라고 소개했다. 또 철도산업은 최근 기계ㆍ컴퓨터 등 최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국가경쟁력을 상징하는 중요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대규모 인력고용이 가능해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를 주최한 국회 안택수 의원은 “철도공사ㆍ철도시설공단ㆍ철도기술연구원 등 철도 관련 기관과 차량제작회사, 그리고 건설업체 등이 개별적으로 해외진출을 모색하다 보니 사실상 해외수주가 어렵고 성사되더라도 일시적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공조체계를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패널들도 “철도사업주체가 정부 출연기관이어서 이익창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데다 의사결정과정도 복잡해 해외사업 참여 여부에 대한 신속한 의사결정이 이뤄지지 못해왔다”며 “이러한 시스템의 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 기업들은 중국ㆍ중동의 철도사업과 베트남(하노이-호찌민)간의 철도복선화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원제도가 미비하고 자금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이날 정책세미나에는 건교위 소속 국회의원,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 정종환 한국철도시설공단 사장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