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ㆍ일 역사 왜곡 문화교류로 극복’

정부가 최근 중국ㆍ일본과의 역사문제에 대해 이를 정치적으로 쟁점화하기보다는 꾸준한 문화교류를 통해 극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7일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은 신년간담회에서 중국의 고구려사 역사왜곡 움직임에 대해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입장표명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정치적 대응보다는 학계 등 민간 차원에서 꾸준한 논의를 통해 바로잡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또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신사참배에 대해서도 “예상치 못한 일이나 이 일로 일본 대중문화 개방일정이 영향을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양국간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교류를 확대하고 문화개방의 폭을 넓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고구려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록문제와 관련, “이를 중국의 고구려사 문제와 연관시켜서는 안된다”며 “북한 및 주변국들과 협조해 만주와 한반도의 고구려 유산 전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게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대신 정부는 역사현안에 대한 공식적인 문제제기를 하기보다는 `한류`를 중심으로 한 중ㆍ일과의 문화교류를 더욱 넓혀나가기로 했다. 문화부는 올해 안에 중국 베이징에 약 200억원을 들여 해외홍보와 관광진흥을 동시에 수행하는 `코리아센터`를 설립하고 상하이에도 게임ㆍ영화ㆍ음악 등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상업활동을 지원하는 `한류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상하이 한류센터는 중국뿐 아니라 홍콩ㆍ베트남ㆍ타이완 등까지 아우르는 `한류 전진기지`의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 장관은 이와 관련, “우리 문화가 해외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 것은 한류가 처음으로 이는 경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를 지속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해외홍보 시스템을 코리아센터 등으로 일원화하는 방안도 관련부처와 적극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화부는 자율ㆍ참여ㆍ분권을 올해 문화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아테네올림픽 성공 개최 ▲청소년육성정책 구체화 ▲순수예술 진흥을 위한 지원정책 수립 ▲관광산업의 고용산업화 ▲지방문화 활성화 지원 등의 정책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강동호기자 eastern@sed.co.kr>

관련기사



강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