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졸업한뒤 취직하는데 3년이상 걸린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뒤 직장을 잡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선진국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 연구위원이 10일 발표한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경력형성' 연구논문에 따르면 지난 9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청년들은 일반적으로 21세에 최종 학교를 졸업해 24.3세에 노동시장에 진입, OECD 평균(최종학교 졸업연령 20.1세, 노동시장 진입연령 22.9세)보다 노동시장에 늦게 진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력별 노동시장 진입연령은 고등학교 수준의 학력 소지자가 20세, 전문대학 수준이 24세, 대학 수준이 27세였다. 또한 의무교육을 마친뒤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걸리는 기간도 9.3년으로 OECD의 7.4년에 비해 1.9년이나 길었다. 이에대해 이 연구위원은 고학력화가 진전되면서 재학기간이 길어진데다 청년층 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가 저조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한 청년층의 실업률은 14.2%로 미국의 9.9%, 영국의 12.3%, 독일의 8.5%, OECD 평균 11.8%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취업자 가운데 임시직 비중이 40.1%에 달했다. 이밖에 청년 실직자가 재취업할 경우 54%가 산업 또는 직업의 변동을 경험하지만 이러한 노동이동이 경력형성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위원은 '남자의 경우 군 입대 변수를 감안하더라도 우리나라 청년층이 학교를 졸업한 뒤 직장을 잡는데 선진국들에 비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교육훈련제도의 개혁 및 이행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