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반도체값 속락 수출 먹구름

256메가 SD램 1월 5.99弗서 4.34弗로 떨어져

수출경기를 주도해온 반도체의 해외시장 가격이 연일 하락, 수출전선에 불안한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56메가 범용 SD램의 아시아시장 현물가격은 지난 1월 말 개당 5.99달러였으나 3월 말 5.13달러, 5월 말 5.01달러, 7월 말 4.41달러로 떨어진 후 10일 현재 4.34달러까지로 하락했다. 이는 연초에 비해 28%나 하락한 것이다. 컴퓨터에 주로 사용되는 256메가 DDR SD램도 3월 말 5.47달러에 가격이 형성됐으나 4월 말 5.07달러, 6월 말 4.84달러, 7월 말 4.45달러에 이어 이달 10일에는 4.16달러로 떨어졌다. 한은은 가을 신학기 PC 수요가 예년에 비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주요 메모리칩 제조업체들의 공급물량 확대 기대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타이완의 난야테크놀로지는 0.11마이크론 생산공정 확충에 따라 3ㆍ4분기 중 D램 생산을 전년동기 대비 15%, 4ㆍ4분기 중에는 50%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일본의 엘피다도 8월부터 0.10마이크론 공정을 이용한 양산체제에 돌입하기로 했다고 한은은 전했다. 반도체 가격 하락은 기존 주력제품의 수출물량 확대나 차세대 고가제품으로의 세대교체가 이뤄지지 않는 한 수출액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반도체 시세 하락과 함께 국내 반도체산업의 생산ㆍ출하ㆍ재고 동향도 둔화조짐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반도체의 생산ㆍ출하ㆍ가동률 지수가 5월보다 모두 감소하고 재고지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지수는 계절적 요인을 빼면 5월보다 4.8% 감소했으며 출하지수도 5월보다 6.3% 줄었고 가동률 지수 역시 5월보다 3.1% 감소했다. 재고지수는 5월보다 9.0%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한편 미국증시 반도체종목 16개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1월 중순 정점을 통과한 후 계속 하강, 11일(현지시간) 전날보다 20.29포인트(5.16%) 하락한 372.67포인트로 마감해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1월 정점 560.65포인트에 비해 33.5% 하락한 것이다. 이날 반도체주 급락은 시스코시즈템스와 내셔널세미컨덕터의 실적전망에 대한 실망에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