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알찬 겨울나기' 골프연습장 효율적 활용법

중장기 목표 세우고… 잘맞는 클럽위주 연습… 클럽 욕심은 금물… 핸디캡별 주안점 다르게


‘연습장도 선생님’이라는 말이 있다. 제대로 활용하면 실전에서 알아차리지 못했던 약점과 스윙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고칠 수 있다는 의미다. 올 봄 경쟁자들과의 실력 차이는 겨울을 어떻게 보내느냐에서 확연히 드러나게 돼있다. 티칭프로골퍼인 유응렬 SBS골프 해설위원 등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효율적인 연습장 활용 방법을 알아봤다. ◇중장기적 목표부터 세워라= 이번 주말이 아니라 올 봄부터 시작될 2008년 전체의 라운드를 대비한 연습이다. 1개월ㆍ분기ㆍ반기ㆍ1년 후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그래야 서두르지 않게 되고 또 꾸준히 연습장을 드나들 수 있다. 멀리 볼수록 바로잡을 부분이 눈에 들어오고 어떤 부분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할 것인지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그립이나 클럽을 바꿀 계획이라면 적응을 위해 교체를 서둘러야 한다. ◇잘 맞는 클럽 위주로 연습을= 연습장에서 나오는 사람의 표정을 보면 연습을 어떻게 했는지 알 수 있다. 찌푸려져 있으면 안 되는 걸 억지로 하려 했을 것이다. 대개 그날그날 잘 맞는 클럽과 안 맞는 클럽으로 나뉘게 마련이다. 그날 잘 맞는 클럽 위주로 연습할 것을 권한다. 잘 맞지 않을 땐 궤도가 잘못됐을 가능성이 큰데 계속 치면 나쁜 궤도가 몸에 익는다. 잘 맞는 채를 잡아야 자신감도 생겨 즐겁게 연습할 수 있고 다음날 또 연습장을 찾게 된다. ◇여러가지 클럽 욕심은 금물= 이것 저것 다 연습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내일 당장 필드에 나가는 것도 아니다. 하루에 잡는 클럽의 수를 드라이버와 7번 아이언, 하나의 웨지, 퍼터 등 4~5개 정도로 압축해 종류별 감각을 확실히 익히는 편이 보다 효율적이다. 200개의 볼을 칠 경우 드라이버 40개, 7번 아이언과 웨지 각 60개씩, 그리고 퍼팅 40차례 등으로 비율을 정해두면 샷마다 집중력 있게 연습할 수 있다. ◇핸디캡별로 주안점 다르게= 개인의 기량에 따라 1시간 보내는 방법을 달리 해야 한다. 100타 이상 치는 골퍼라면 드라이버 연습량을 늘려 OB나 어이없는 토핑 등 미스를 없애야 타수를 줄일 수 있다. 드라이브의 방향성이 어느 정도 잡힌 90대 중급자는 국내 골프코스 파4홀 세컨드 샷에서 곧잘 마주치는 130~150야드 거리를 정확히 공략하기 위해 미드 아이언 샷을 강화한다. 80대는 웨지 샷의 거리를 스윙 크기로 조절하는 연습의 비중을 늘린다. ◇워밍업과 스트레칭은 필수= 정해진 시간에 쫓겨 자리를 잡자마자 볼을 치면 안 된다. 예기치 않았던 부상으로 우울한 봄을 맞을 수도 있다. 연습 전 손목과 팔꿈치, 허리, 발목, 무릎, 어깨 등을 충분히 풀어주고 연습 뒤에도 가볍게 스트레칭을 해준다. 이렇게 해야 ‘골프나이’를 10년 낮춰 더 오랫동안 즐길 수 있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