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미래 상승여력 커 가입해볼만"

증시 폭락…주가연계예금 들까 말까

주가가 급락하자 주가연계예금(ELD) 상품 가입 여부를 놓고 고민하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 주가가 계속 하락할 경우 이자도 제대로 건지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 전문가들은 최근처럼 주가가 떨어질 때 ELD 상품에 가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한다. ELD상품은 펀드와는 달리 원금이 보장되는데다 가입 시점으로부터 1년이 지난 후의 주가를 기준으로 수익률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주가가 떨어질 때 가입하는 게 좋아=ELD는 원금을 보장하면서도 주가 상승에 따라 추가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이다. 따라서 최근처럼 주가가 크게 떨어져 앞으로의 상승 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될 때가 가입하기 좋은 시기로 지적된다. ELD는 운용 시작 시점의 주가(주로 코스피200)와 1년 후의 주가를 비교해 상승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증시가 확실하게 조정을 받았을 때가 적기라고 말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물론 주가가 1년 후까지 하락한다면 원금보장에 만족해야 하지만 시장수급 등 제반 환경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는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은행의 ‘이챔프 07-7호’는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한 지난 7월 말께 출시됐지만 벌서 442억원이나 팔려나갔다. 주가 상승기인 4~6월께 출시됐던 상품 판매액이 100억원에도 못 미쳤던 것에 비하면 상당한 판매실적이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7월20일부터 상품이 판매됐는데 초기에는 판매가 부진하다가 주식시장이 하락세로 돌아선 7월26일 이후부터 8월 초까지 판매액이 급증했다”며 “주가가 조정을 받자 추가 상승 여력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몰려들었다”고 말했다. ◇복합예금 상품 등에 주목해야=주가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정기예금과 동시에 가입할 수 있는 복합예금 상품이 유망한 것으로 지적된다. 우리은행이 최근 내놓은 ‘신기원 2007 복합예금’은 ELD 가입과 함께 연 7%의 확정금리를 지급하는 정기예금에 동시 가입할 수 있다. 주가 하락시 수익률 하락분을 높은 정기예금 금리로 상쇄할 수 있는 셈이다. 국민은행의 KB리더스정기예금(안정수익추구형)은 주가 변동성이 커지는 것을 감안해 최고 수익률을 10%로 낮추는 대신 최저 수익률을 4%로 올린 상품이다. 수익성과 함께 안정성도 겸비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ELD 상품은 대부분 주가가 20% 이상 상승시 낮은 수익률로 확정하는 녹아웃제도를 운영하는 만큼 녹아웃 수익률이 높은 상품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하나은행의 지수플러스정기예금(안정투자형)은 주가가 20% 이상 상승하더라도 웬만한 정기예금보다 높거나 맞먹는 5.4%의 녹아웃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