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기 본격 상승국면

1분기 실질GNI 7.5%증가… GDP성장률 추월 피부로 느끼는 경기가 지표경기보다 훨씬 나아져 본격적인 경기상승 국면에 들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국민총소득(GNI) 추계'(잠정)에 따르면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전년 동기에 비해 7.5% 증가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5.7%에 비해 1.8%포인트 높게 나왔다. 이런 현상은 구매력을 갖춘 체감경기가 지표보다 훨씬 나아졌다는 뜻이며 드물지만 지난 92년과 93년, 98년 4ㆍ4분기, 99년 1ㆍ4분기 등 경기의 본격 상승국면 직전에 나타났다고 한은은 밝혔다. 이 같은 현상은 정보통신기기ㆍ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보다 원유ㆍ섬유ㆍ기계류 등 수입품 가격이 더 크게 떨어져 교역조건이 지난해 동기에 비해 2%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계절적 요인을 반영한 실질 GNI도 4.6% 늘어나 전기(1.9%)에 비해 증가폭이 컸다. 당해 연도 가격으로 산출한 명목 GNI는 135조9,681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7.2%늘어났다. 총저축률은 26.1%로 전년 동기(28.4%) 대비 2.3%포인트 하락, 86년 1ㆍ4분기(25.5%)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총투자율도 23.4%로 전년 동기(24.1%)보다 0.7%포인트 하락, 99년 1ㆍ4분기(21.9%)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그러나 저축률이 투자율보다 높아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유지될 전망이다. 한은은 내수기반 위주로 성장이 이뤄지면 장기적으로 저축률이 선진국처럼 20% 초반으로 떨어지지만 소비가 국내에서 이뤄지는 만큼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정호 경제통계국장은 "큰 흐름상 원유가가 안정되고 반도체 가격도 상승세를 보일 것인 만큼 교역조건은 꾸준히 개선돼 실질 GNI 증가율은 높게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문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