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알찬방학생활] 겨울방학 지도요령

겨울방학이다. 긴긴 방학 동안 초등학생들은 어떻게 알차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까? 많은 부모들이 방학 중 자녀를 어떻게 지도할 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지만 발 빠른 부모님들은 특별교육을 시키거나 겨울 캠프를 보낼 계획을 짜고 있다. #학습과 놀이를 병행한 계획 세워라 아동 스스로가 학습과 놀이를 적절히 조합하여 일일 또는 일주 단위로 계획을 짜고 부모님과의 토의를 통해 결정하게 한다. 또한 하루 또는 일주간 동안 학습했던 것에 대해 스스로 점검하여 그 내용을 부모님께 설명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게 한다. #시간 정해서 규칙적으로 학습하게 하기 방학 중이라도 매일매일 일정한 시간을 정해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습관을 갖게 해야 한다.방학 기간이 길다고 해서 학습 시간을 너무 융통성 있게 하면 자칫 공부를 소홀히 하게 되고 미루게 된다. 따라서 하루 중 일정한 시간은 꼭 공부하는 습관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게 하기 여러 교육기관을 방문한다 해도 아동 스스로가 학습하는 시간이 없으면 받아들였던 많은 정보들이 머리 속에 남아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학원을 다니더라도 아이 스스로 예습, 복습하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 #아동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학습지 선택하기 아무리 좋은 교재나 학습지라도 아동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선택하면 아동이 곧 싫증을 느끼게 된다.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수준으로 아동이 관심을 갖는 학습지를 선택하거나 `small step` 교재를 선택하여 한 권, 한 권 끝날 때마다 아이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면 학습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아동의 강점 지능과 약점 지능 파악하여 지도하기 아동의 학습능력은 개개인의 고유한 지적 능력과 성향, 그리고 환경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아동의 강점 지능과 약점 지능을 잘 파악하여 교육적으로 준비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동의 지적 능력이나 적성에 관한 과학적인 정보를 얻고 싶으면 MI적성진로 진단검사를, 아동의 학습유형을 알고 싶으면 학습유형검사와 같은 심리검사를 받으면 된다. #체험학습 제공하기 인간은 직접 보고 들은 것을 더 잘 기억하고 흥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직접 보고 들은 것에 대한 학습 동기도 높아지게 된다. 공부한 내용과 관련된 박물관, 교육관, 유적지 및 전시회 등을 방문하는 것도 좋은 체험학습 방법이다. <도움말=이현미 ㈜대교 교육연구소 박사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