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주력제품 위협하는 중국의 저가공세

우리나라 주력제품을 중심으로 중국의 저가공세가 거세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입지기 갈수록 좁아지는 형국이다. 중국의 공세는 이미 오래 전부터 예상돼 온 것이지만 그 속도가 너무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개별기업은 물론 관련업계, 정부당국 등의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중국의 공세는 크게 중국시장안과 중국시장 밖에서 동시에 전개되고 있다. 우선 중국 내에서는 중국 토종 기업들의 대대적인 반격이 벌어지고 있다. 그 동안 외자유치정책을 통해 확보한 기술과 자본 등을 바탕으로 토종 기업들이 값싼 제품을 자국시장에 공급하면서 외국기업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의 외국기업에 대한 정책변화도 주목된다. 값싼 임대료와 인건비를 내세워 외국기업을 유치해 경제력이 커지자 중국 정부는 이제 외국기업과 자국기업을 동등하게 대우하고 근로자의 권익을 강화하는 쪽으로 국가정책을 수정하고 있다. 외국기업에 대한 세금우대조치를 폐지할 방침이고 해고시 노조와 반드시 협의하도록 하는 등 노동법의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에 진출해 있는 4만여 우리 기업들이 이제는 흑자는 커녕 생존 자체를 걱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진출 국내 기업들이 현지에서 고전하고 있는 것과 함께 국내에서도 중국 기업들의 저가공세로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 저가 농산물과 의류 등 잡제품에서 시작된 중국의 한국시장 공략은 이제 고급소비재는 물론 첨단제품까지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외환보유액이 8,200억달러에 이른 중국은 방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기업의 인수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의 안과 밖에서 동시에 전개되고 있는 이 같은 저가공세와 시장확보 및 기업M&A(인수ㆍ합병)는 분명 위기이지만 기회이기도 하다. 중국진출 기업들의 고충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들 기업이 국내에 다시 들어올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일본은 경기가 살아나면서 중국에 진출했던 기업들이 다시 본국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끊임없는 기술개발로 고부가치제품을 생산해 중국제품과의 격차를 더욱 벌려나가는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