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초·중등교육과 대입제도 연계 끊어야"

수능폐지-고교학력차인정 주장도… 공교육 정상화 세미나

공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대학입시가 초.중등교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차단하고 학생의 내신기록부인 `교육이력철'을 위주로 입학전형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 단위 수능시험 및 모의고사를 폐지하고 지역 단위 교육과정 완성도 평가를실시해야 한다거나 고교간 학력격차를 대입전형에 반영하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등도 제기됐다.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와 한국교육평가학회가 공동으로 21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연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입제도 및 평가체제의 패러다임 변화' 세미나에서 김민남 교육혁신위 선임위원(경북대 교수)은 "초.중등교육을 대학입시로부터분리시켜 초.중등교육이 학교교육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대학은 교사가 기획.실행한 교육의 전과정을 누가(累加) 기록한 교육이력철을 기본 전형자료로 고교간 `성격 차이'를 반영, 경로별 선발을 해야 한다는것. 경로별 선발방식으로는 ▲고교교육의 완성도에 따른 선발 ▲직업학교 및 특목고등동일계를 이어주는 선발 ▲사회적 공헌도에 따른 선발 ▲대학 전공분야별 특수한기준에 의한 선발 등이 제시됐고 전국 또는 지역별 학력고사를 통해서는 이런 경로를 통해 뽑히지 못한 학생 및 검정고시 합격자 등을 제한적으로 선발해야 한다고 김위원은 설명했다. 김 위원은 대학마다 갖는 학생선발 기능을 없애고 학생을 공동으로 뽑아 배분하는 대학평준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회수 교육혁신위 상임위원(전남대 교수)은 학생, 학교, 교육청, 대학 등에 대한 전국 단위 평가 체제를 지역별 평가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수능시험과 모의고사, 경시.경연대회를 폐지하고 지역 단위 교육과정완성도 평가를 시행하며 대학의 학생선발은 이 평가 결과와 학교(교사)가 실시한 학생 평가 및 교육청이 실시한 학교 평가를 토대로 해야 한다고 김 위원은 강조했다. 박도순 교육혁신위 위원(고려대 교수)도 "대입제도는 중등교육을 정상화하고 교육기회의 형평성을 보장하는 쪽으로 바뀌어야 하며, 중등교육에 대한 대입제도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순근 서울대 교수는 "상대평가에 의한 석차를 학생부에 기재하지 못하도록 하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성취.평가기준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백 교수는 특히 성적 부풀리기를 막고 고교교육의 다양화.전문화.특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학교간 학력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대입전형에도 반영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