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北 6자회담 복귀 전엔 어떤 협상도 없다"

"핵무기 프로그램 포기 입증하면 관계정상화 추진"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어떤 협상도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한 뒤에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노 대변인은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 원'에서 `미국이 새로운 대북 접근법을 검토하고 있다'는 뉴욕타임스 보도와 관련, "북한에 대한 접근법은 항상 같다"면서 "북한이 6자회담에 참여한 뒤에야 진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따라서 이후의 조치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도 미국은 북핵 6자회담이 재개되면 북한과 관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북한의 회담 복귀를 위한 새로운 유인책을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임을 입증한다면 대북 관계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지만 "우선 북한이 회담에 복귀해 (핵무기 포기라는) 전략적 결정을 내렸음을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북한이 그렇게 한다면 미국 및 다른 나라들과 지금까지와는 다른 관계 구축의 "실현을 북한은 기대할 수 있다"고 매코맥 대변인은 덧붙였다. 앞서 미국 정부 관계자는 조지 부시 행정부가 한반도 평화협상과 북핵 6자회담과 병행 등 새로운 대북 접근법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미 정부는 9.19 북핵 공동성명을 이행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며 "공동성명엔 적절한 별도의 장을 통해 평화체제를 논의한다는 전반적인 합의가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 관계자의 말은 부시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 접근법에 관한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