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소형아파트 가격 하락 '찬밥신세'

공급 느는데 수요 갈수록 줄어… 강남 노른자위도 매수자 없어<br>대형과 평당가격차 점차 커져


소형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서울 강북지역이나 수도권에서 뿐만 아니라 서울 강남에서조차 10~25평 미만 소형 평형이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해 지역별로 격차는 있으나 30평형대 이상 아파트는 가격을 유지하거나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서울 내 아파트 소형-대형 평형 평당가격 차이가 지난 2003년 초 평당 375만원에서 2004년 516만원, 2005년 570만원으로 점차 커지고 있다. ◇대형은 매물 없고 소형은 매수자 없어=노원구 상계동 일대 소형 평형 아파트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내놓은 매물이 거의 빠지지 않고 있다. 마들역 인근 중개업소들의 경우 10~20평형 이하 소형 평형 매물이 중개업소마다 60~70개 정도 나와 있다는 게 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30평형 이상 중대형 매물에 비해 2배 이상 많다. 가격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현재 상계주공 9ㆍ11단지 등 18평형의 경우 7,000만원선에 매매가가 형성돼 있다. 이는 2002년께 9,000만원에 이르렀던 것에 비해 20% 이상 떨어진 가격이다. 이에 반해 30평형대 이상 아파트는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남권에서도 소형 평형은 비인기 평형이다. 서울 4차 동시분양에서 분양된 잠실주공 2차 아파트의 경우 12평형 아파트는 3순위 청약을 마치고도 총 868가구 중 246가구나 미달됐다. 목동의 경우 신시가지 10단지 20평형은 2억8,000만원선인 데 반해 27평형은 4억6,000만원선으로 2억원 가까이 차이가 난다. 수도권에서도 이 같은 현상은 마찬가지다. 경기도 평촌 범계동 부동산의 한 관계자는 “대형 평형은 매물이 없어 못 팔고 소형 평형은 손님이 없어 거래가 없다”고 말했다. 범계 목련마을 아파트의 경우 47평형이 평당 1,5000만원선인 데 반해 21평형은 평당 700만원선으로 평당가격은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왜 떨어지나=소형 평형 아파트 가격이 추락하고 있는 이유는 ▦소형 평형 공급량 확대 ▦다주택 보유자에 대한 세금강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 격차확대 등으로 분석된다. 가장 큰 이유는 소형 평형 주거공간 공급은 늘어나는 데 비해 수요는 주는 것이다. 게다가 10~20평형대 소형 평형 아파트는 최근 아파트 외에도 소형 주거용 오피스텔, 국민임대아파트 등의 대체 주거지가 대거 공급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25평 이하 오피스텔 입주량은 ▦2003년 3만3,408실 ▦2004년 4만1,000실 ▦2005년 4만6,459실로 늘어왔다. 국민임대 입주량 역시 전국적으로 2002년 1만34가구에서 ▦2003년 2만5,838가구 ▦2004년 2만3,454가구 ▦2005년 2만7,492가구로 대폭 늘어나고 있다. 공급은 늘어나고 있는 반면 수요는 줄고 있다. 소득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소득격차가 계속 벌어지면서 소형 평형 수요자인 서민들이 집을 살 능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 노원구 상계동 상원부동산의 손용준 실장은 “2000년 초반에 대출을 대폭 안고 산 소형 평형 소유자들이 금융부담을 이기지 못해 집을 내놓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게다가 집을 살 능력이 되는 중산층 이상은 다주택 보유자에 대한 세금강화로 대형 알짜 아파트를 골라 보유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평형간 가격차이가 커질 경우 집을 늘려가는 것이 힘들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소득계층간 격차를 더 벌리는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