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의사 전성기는 40대!

개원의 진료비 45세가 3억4,844만원 최다<br>과목으론 정형외과 가장 짭짤


40대가 의사들의 전성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전국 동네의원들의 진료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의원들의 연평균 진료비는 3억289만원에 달했다. 건보공단이 기준으로 잡는 진료비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비용과 의료급여(저소득층 대상)를 포함한 것이어서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부문까지 합칠 경우 실제 진료비는 더욱 증가한다. 연령별로는 45세 개원의가 3억4,84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1세(3억4,543만원), 40세(3억4,422만원) 등의 순이다. 34세 이하는 2억7,844만원, 65세 이상은 1억3,805만원에 그쳤다. 개원의들은 30대 후반부터 진료비가 늘어나기 시작해 45세 때 정점에 이른 뒤 점차 감소하다가 50대부터는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진료과목별로는 정형외과가 5억1,49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안과(4억9,119만원), 신경외과(4억4,528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비해 성형외과(2,230만원), 흉부외과(1억8,881만원) 등은 진료비가 적었다. 돈을 많이 버는 것으로 알려진 성형외과 진료비가 적게 나온 것은 거의 대다수 진료와 수술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않는 비급여여서 건보공단 실적에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동네의원은 지난 97년 1만4,163개에서 지난해 2만2,945개로 62% 증가했다. 동네의원의 절반 정도인 49.3%가 서울과 인천ㆍ경기 등 수도권에 대규모로 집중해 있으며 안과(56.2%), 소아과(55.6%), 이비인후과(55.3%) 등의 수도권 집중도가 심했다. 한편 한의원의 연평균 진료비는 1억1,872만원, 치과의원은 8,165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의원ㆍ치과의원 모두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 많아 진료비가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치과의원은 97년 7,476개에서 1만1,871개로 58.8%, 한의원은 4,016개에서 8,808개로 119.3% 늘어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