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오염 뇌경색 주요 원인

91-97년 서울서 428명 뇌경색 사망 유발지난 91∼97년 서울에서만 대기오염에 의한 뇌경색으로 최소 214명에서 최고 428명이 숨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하대 산업의학과 홍윤철(洪潤哲.42) 교수팀은 서울대.이화여대.단국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대기오염과 뇌경색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난 91∼97년서울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뇌경색으로 숨진 사람이 최소 241명에서 최고 428명인것으로 파악됐다고 10일 밝혔다. 한국과학재단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는 대기오염이 뇌경색 사망률을 높인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것이라고 홍교수팀은 주장했다. 관련 논문은 미국 순환기학회에서 발간하는 `스트로크(Stroke)'지 9월호에 실렸다. 홍교수팀은 대기오염이 뇌경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분진,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등 5가지 물질의 오염 농도를 4등급으로 나눠 뇌경색 사망자의 사망 일자와 비교,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오염도가 상위 25%인 날의 뇌경색 사망률이 하위 25%인 날에 비해 3∼6% 높았으며, 특히 오염도가 높아진 다음날부터 사흘 후까지 뇌경색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부연했다. 홍교수팀은 대기오염과 뇌경색의 연관성이 이처럼 높은 것은 대기오염 물질이인체내 혈액의 응고성을 높이고 혈액순환도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홍 교수는 올해초 대기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뇌졸중 사망자가 4% 가량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하버드대 보건대학원과 공동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홍 교수는 "이번 연구의 신뢰구간은 ±95% 수준"이라며 "특히 대기오염이 심한날에 노인이나 고혈압.고지혈증 환자 등은 대기오염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각별한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