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교가 노트] "해외건설 공사미수금회수 힘드네"

[외교가 노트] "해외건설 공사미수금회수 힘드네" 외교통상부와 건설교통부, 재정경제부 등 해당 정부부처가 '해외건설 공사 미수금 조기회수'에 나섰지만 그 결과가 신통찮다. 최근 해외 25개국 공관에 '비상령'을 보낼 정도로 미수금 회수에 적극적이던 외교부도 지금은 "건교부에서 전담하고 있다"며 한발 물러나 있다. 외교부 한 당국자는 7일 "(미수금 회수 문제는) 전문적인 분야"라며 "해외공관에서도 건교부로 상황보고를 하고있기 때문에 자세한 상황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달 김대중 대통령이 브루나이 방문중 하나날 볼키아 국왕과 '현대건설 공사미수금 지급'에 서로 합의하면서 해외건설 공사미수금 문제가 수면위로 부상. 국내 건설업체들이 해외건설 수주 격감과 함께 유동성위기에 몰리자 1년이상 장기간 못받는 미수금 회수가 '해결책'으로 대두됐다. 하지만 당사국의 경제적 사정 등 국내사정과 맞물려 미수금 회수가 '장?빛은 아니다'는게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미수금 회수를 전담하고 있는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사실 뾰족한 수는 없다"며 "공식, 비공식적으로 각국 예산에 미수금이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업계가 파악하고 있는 해외 미수금 30억불중 구체적으로 논의중인 것은 대우 리비아공사 2억불, 현대 이라크공사 9억불, 현대 부르나이 3,800만불"이라며 "이것도 (회수에)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에 업체 관계자들은 "정부가 외교력을 발휘할 때"라며 "다음 공사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도내에서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홍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