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성의류, 경기에 가장 민감

의류소비는 경기변동에 따라 급격하게 증감하는 등 일반소비재 보다 경기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소비조절의 주요 수단으로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여성복 소비가 남성정장이나 아동복 등 다른 의류에 비해 경기에 가장 민감하게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의류전문컨설팅업체 엠피아이는 경제성장과 의류소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류소비가 일반소비보다 앞서 경기변동에 반응하며 그 변동폭도 훨씬 컸다고 31일 밝혔다. 지난 96년 의류소비증가율은 10.4%로 경제성장률(6.8%)이나 소비지출증가율(7.1%)보다 높았지만 97년 경제성장률이 5.0%로 낮아지면서 의류소비증가율은 마이너스 6.4%로 떨어져 소비지출증가율(3.5%)보다 민감하게 반응했다.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경제성장률(-6.7%)과 소비지출증가율(-11.7%)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98년에는 의류소비증가율은 이보다 훨씬 더 큰 폭인 마이너스 29.3%로 떨어졌다. 이어 경기가 회복되면서 10.9%의 경제성장률을 보인 99년에는 일반소비는 이와 비슷한 11.0%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의류소비는 이보다 훨씬 높은 18.9%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여성복은 경기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 경기가 급격히 후퇴했던 98년에는성장률이 마이너스 33.3%로 뚝 떨어졌다 99년 경기가 살아나면서 22.6%로 급상승, 55.9%포인트의 변동폭을 기록했다. 이어 캐주얼.스포츠 의류가 98년 마이너스 22.5%로 떨어졌다 99년 26.1%로 올라가면서 48.6%포인트의 변동폭을 보였고, 이밖에 내의(36.7%포인트), 남성정장(35.3%포인트), 유아동복(27.3%포인트)등의 순으로 변동폭이 컸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