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20년 지능형로봇산업 100兆 규모 육성"

국가과학기술위, 로봇발전전략 확정<br>세계 3대 나노기술 강국 부상

"2020년 지능형로봇산업 100兆 규모 육성" 국가과학기술위, 로봇발전전략 확정세계 3대 나노기술 강국 부상 (서울=연합뉴스) 김권용 기자 우리나라가 2013년 지능형로봇산업의 총생산이30조원, 2020년에는 100조원에 달하는 세계 3대 지능형로봇 강국으로 부상한다. 또 나노 기술 개발을 본격 지원, 2015년 세계 3대 나노 국가로 발돋움하고, 2040년에는 독자적인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기술을 확보해 미래 에너지 강국의 반열에진입한다. 정부는 13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오 명 부총리겸 과학기술부 장관주재로 제19차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회의를 열어 `지능형로봇 산업 비전.발전전략'등 5개 안건을 심의, 확정했다. 지능형로봇은 외부 환경을 인식, 상황을 판단하고 자율적으로 기능하는 첨단 로봇으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이번 결정으로 미래 핵심 성장동력원으로 집중 육성된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로봇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 2013년 세계시장 점유율 15%, 총생산 30조원, 수출 200억달러, 고용창출 효과 10만명 수준으로 끌어올려 세계3대 지능형 로봇국가로 부상키로 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로봇 산업규모는 3천500억원 규모로 세계 6위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로봇인력 2만명을 양성하고 수도권 지역에 `로봇산업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한편 다른 성장동력 사업과의 연계 추진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로봇은 2008-2010년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형태에서 2011-2013년에는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 로봇'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로봇산업은 특히 본격적인 대중화 시기를 맞는 2020년에는 자동차 산업을 훨씬 웃도는 1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정부는보고 있다. 정부는 또 인공위성을 이용해 정확한 위치와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관련 업무를 국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내용의 `국가위성항법시스템 종합발전 기본계획'을 확정, 본격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상 2만㎞ 상공을 선회하는 인공위성을 통해 항공.선박.차량 자동항법장치와 긴급 구난.구조, 위치 확인을 위한 미아찾기, 위치기반서비스(LBS) 등 정보통신 서비스가 대폭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특히 2009년부터 개발 예정인 정지궤도 복합위성에 항법기능을 탑재하는등 GNSS구축 기반을 조성키로 했다. 정부는 또 2015년까지 세계 3대 나노 강대국으로 진입,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비교우위를 갖는 최소 30개 이상의 실용화 기술을 확보하고 2014년 세계시장에서 5천억달러를 점유하는 내용의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도 아울러 통과시켰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가 핵융합 연구기반 구축을 위해 추진중인 `차세대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와 함께 선진국들과 공동 참여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프로젝트 등을 토대로 2040년 독자적인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기술을 확보키로 했다. 정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국가핵융합에너지 개발기본계획'을 본격 추진, 2011-2020년 핵융합 에너지 기술 6대 강국으로 진입하고, 이어 2021-2035년엔 한국형 핵융합발전소의 건설능력을 확보키로 했다. 이밖에 이공계 전공자들의 공직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4급 직위 대부분을 행정.기술 복수직위로 전환하는 한편 내년에는 기술직 신규채용 목표비율을 33.4%로 설정해 운용키로 했다. 입력시간 : 2005/12/13 09:0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