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전역세권 개발사업 좌초위기

기업들 사업계획서 접수마감 앞두고 "사업성 불투명" 참여 기피 <br>코레일 "백화점등 입점 필요"… 대전시선 반대


대전역 명품역사 건립을 포함한 대전역세권 개발프로젝트가 과연 성공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민간기업은 사업성 불투명으로 참여를 기피하고 대전시는 사업성 보완의 필요성에도 불구 입주시설과 관련해 더 이상의 규제완화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주일도 안 남은 사업계획서 접수 마감일까지 제출 기업이 나올지 미지수다. 코레일은 지난 8월 대전역세권 개발계획을 확정한데 이어 사업자 모집공고를 내고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코레일은 이어 사업설명회 참가기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국내 상위권 그룹 10여곳을 대상으로 사업을 설명하고 참여의지를 확인하는 등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에 대한 민간기업의 참여를 독려해왔다. 그러나 사업계획서 제출 마감일인 16일이 다가오고 있으나 민간기업의 참여는 단 한 곳도 없는 상태다. 민간기업들이 사업성 불투명으로 이유로 사업참여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을 뿐이다. 코레일은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백화점 또는 대형할인점 등의 시설이 입주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대전시에 전달해놓고 있다. 코레일은 대전역사를 전국적 상권 집결지로 만들어야 향후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크고 주변개발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백화점 및 대형할인점 입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명품역사 건립을 외치고 있는 대전시 동구 또한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백화점 등이 입점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대전시에 요구해놓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는 지역상권 보호 등 지역경제 미치는 영향 때문에 이를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은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코레일은 마감일까지 민간제안공모에 나서는 기업이 없을 경우 추가적인 공모는 불가능하며 대전시가 당초 수립 중에 있던 재정비계획이 확정된 후 철도부지 개발과 관련한 사업자 모집 등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코레일은 대전역을 중심으로 한 대전시 동구 정동, 소재동 일원 20만7,382㎡를 대상으로 민간제안사업 공모를 실시 중에 있으며 사업계획서가 제출될 경우 개발기본계획을 확정해 대전시에 전달, 대전시의 재정비계획 수립에 반영한 뒤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으로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지금까지 참여의사를 밝혀온 기업들이 단 한 곳도 없어 이번 민간제안공모는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대전시가 향후 재정비계획을 수립할 때 이번 일을 적극 반영해야만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