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경기하강 속도 주춤?

7월 경기동행·선행지수 6개월째 동반하락속<br>생산·투자 증가폭 확대… "일시 요인 가능성"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앞으로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가 6개월째 동반 하락했다. 지난 6월 곤두박질을 쳤던 소비재판매가 늘어나고 생산ㆍ출하ㆍ설비투자 증가폭이 일제히 확대되는 등 경기하강 속도에 제동이 걸리는 듯한 신호도 있지만 조업일수 증가와 이례적인 무더위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파악돼 경기하강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7월 광공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9.1% 늘어났다. 광공업생산 증가율은 4월 10.7%에서 5월 8.6%, 6월에는 6.8%로 떨어졌다가 지난달 3개월 만에 증가세가 확대됐다. 하지만 조업일수를 감안한 조정지수 증가율은 6.4%에 그쳐 5월(11.9%), 6월(7.1%)에 이어 둔화세를 이어갔다. 7월에는 제헌절이 공휴일에서 제외되고 일요일이 하루 줄어드는 등 조업일수가 지난해 7월보다 이틀 적었다. 소비재판매액도 가전제품 등의 내구재 소비 확대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3.9% 늘어 6월 -1.0%에서 한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옷이나 신발 등 준내구재 판매도 3.8%의 양호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다만 이 같은 움직임을 소비심리 개선으로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지난해에 비해 유달리 무더웠던 올 7월에 일시적으로 에어컨이나 빙과류 등의 판매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경기동향을 나타내는 동행지수와 선행지수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6월 99.9로 떨어진 데 이어 7월에도 99.8로 추가 하락해 2개월 연속 추세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광공업생산지수와 제조업가동률지수ㆍ내수출하지수 등이 떨어진 탓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소비자기대지수ㆍ건설수주액ㆍ종합주가지수 등의 지표 감소로 전월 대비 1.1%포인트 낮은 0.1%를 기록, 마이너스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지난해 11월 7.3%를 기록한 이래 8개월째 내리막이다. 이태성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6개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가 8개월 연속 하락하는 등 경기하강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다만 조업일수 증가의 영향은 있지만 7월 광공업생산과 소비재판매 등 지표 증가율의 둔화가 주춤해진 것으로 볼 때 경기하강 속도는 다소 완만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재고와 출하ㆍ투자지표 등은 전월에 비해 상당 부분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제품 출하는 전년동월 대비 8.5% 나아졌고 재고증가율은 14.4%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6월(16.1%)에 비하면 증가폭이 줄었다. 제조업의 재고증가율이 여전히 출하증가율을 웃돌고 있지만 전월에 비하면 둔화된 양상이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수장비 투자가 늘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0.7% 늘었고 선행지표인 기계수주도 16.6% 증가해 6월(6.3%)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건설 부문에서는 공공 및 민간공사 증가로 건설기성이 전년동월비 10.4% 늘었으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경상)는 건축 및 토목 부문의 수주실적 저조로 6월 -23.4%에 이어 -13.0%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