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건설 일용직 '노령화' 심각

평균연령 48세 달해건설현장 일용직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약 48세에 달해 '노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심규범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사는 건설산업연맹의 '건설근로자 수급실태 지역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국내 건설현장 일용직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47.6세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조사된 건설 일용직 근로자 평균 연령을 기능별로 세분하면 방수공이 51.4세로 노령화가 가장 심각했고 조적(벽돌 쌓기)공의 평균 연령도 49.8세나 됐다. 또 건축목공의 평균 연령은 49.6세, 콘크리트공과 미장공의 평균 연령은 각각 49.0세였다. 전반적인 노령화 속에 도장공(평균 42.9세)과 배관공(평균 43.5세)의 평균 연령은 40대 초반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심 박사는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 중 20대 이하의 비율이 19.7%인 데 비해 건설 기능인력의 경우 이 비율이 9.9%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젊은 노동력이 건설현장을 외면하면서 노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조사시점인 지난해 9월 현재 건설 일용직 근로자의 평균 일당은 8만6,300원이었으며 건축목공과 비계(건축물 외벽 작업대)공의 경우 각각 10만1,800원, 10만600원으로 10만원을 넘었다. 반면 일반공은 일당으로 평균 5만6,800원, 방수공은 6만8,500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종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