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새 성장동력, 기술사업화로 창출하자]<하>기술강국의 기틀

"국가차원 '기술 비즈' 프로세스 구축을"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 소재 자동차 제동장치 제조업체 L사. 창업초기 회사의 사활을 걸고 1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차세대 제동장치를 개발했다. 하지만 국내 자동차업체에 일부 납품하는 것으로는 수지타산을 맞출 수 없어, 회사가 좌초될 위기 뿐만 아니라 신기술이 사장될 위기에 처했었다. 기업 존폐의 위기감속에서 때마침 지인의 소개로 한국기술거래소와 연계돼 현대자동차의 지원을 받아 GM과 포드 등 세계적인 자동차업체에 납품계약을 체결, 회사가 기사회생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신기술을 사업화 하는 기술 비즈니스 촉진정책, 즉 기술 사업화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이는 결국 국가경쟁력까지 강화하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기술사업화의 촉진정책은 경기활성화와 새로운 투자 및 일자리창출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 더 나아가 기술강국 도약을 위한 초석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웅천 한국기술거래소 사업화 금융본부장은 “활용가치가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고 발굴해 사업화로 연결되는 성공률이 높아진다면 결국 국가경쟁력이 강화되는 것”이라며 “우리도 국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의 촉진을 위한 기술평가정보 유통시스템 등과 같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에 나서 기술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의 프로세스 구축= 국가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효율성 제고와 더불어 기술의 고부가가치화 추진이 기술강국으로 발돋움하는 지름길로 인식되는 가운데 기술 사업화가 세계 각국의 경제성장 정책 핵심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의 프로세스(표1 참조)을 구축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기술 사업화의 촉진정책을 수행하는 전문기관 및 기업이 미국은 1,000여 개, 유럽은 500여 개에 이른다. 일본은 2002년11월 지적재산법을 제정하고 2003년 지적재산전략본부를 설립, 지적재산권의 관리 및 활용촉진 정책을 펼치며 국가차원에서 기술사업화의 프로세스를 새롭게 구축했다. 이에 앞서 미국은 1983년 국방성과 에너지성 등 12개 부처에 도입, 시행하고 있는 SBIR(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프로그램을 통해 국가차원에서 혁신형 중소기업의 집중 육성은 물론이고 글로벌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정책초기 10여년간 250억 달러 규모의 막대한 지원자금을 투자하며 기술사업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기여도를 40%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안현호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정책관은 “그 동안 국가의 기술정책이 연구개발 실적을 중시하는 풍토로 기술을 사업화로 연결키는 시스템이 미흡해 경제성장 기여도가 10%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는 이를 해결하고자 2004년부터 기술사업화의 촉진정책을 기술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선정, 기술사업화의 프로세스를 새롭게 구축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가가치 창출형 경제체제로 기술강국 도약= 미국과 일본 등 기술강국은 일정규모의 기술개발 과제는 연구기획 및 선정단계부터 경제성 및 사업화의 타당성 평가를 통해 신기술의 사업화 성공률을 30% 이상 수준으로 높이고 있다. 부품소재 기술력에 있어 최고로 평가받는 일본은 통상산업성의 주도하에 부품소재 원천기술을 가진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육성시키데 집중하고 있다. 일본정부가 연구개발(R&D) 투입대비 성과를 획기적으로 제고하고자 기술사업화의 촉진정책을 통해 일본경제를 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백동현 한국기술거래소 사업화지원팀장은 “일본정부는 이미 2000년 들어서 기술금융정책(표2 참조)을 강화, 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원활한 자금지원 체계를 구축했다”며 “기술 사업화 전문투자펀드 또는 글로벌 기술펀드 조성, 기술자금지원기관 설립 등이 바로 연장선에서 진행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정부도 2004년부터 한국기술거래소를 국가 기술사업화의 전문기관으로 확대 개편하고, 기술이전촉진법을 기술사업화촉진법(표3 참조)으로 개정하는 등의 기술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오는 2010년까지 1,000억원 매출의 중견기업을 1,000개 이상 육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계획안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제조업 분야에서 국내총생산(GDP)이 100조원이 증대돼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창현 산자부 기술사업화팀장은 “기술사업화의 촉진정책을 통해 글로벌중견을 집중 육성한다면 이를 기반으로 부가가치 창출형 경제구조로 전환, 기술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평가 관련 정보 온라인서 공유
▦기술평가정보 유통시스템이란?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핵심요소는 기술평가다. 특히 기술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평가정보 시스템의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기술평가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하고 유통을 활성화해 기술평가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게 필요하다.

그러나 기술평가 과정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수집하는 비용이 전체 기술평가에 소요되는 자금의 70% 이상을 차지할 만큼 많은 비용이 들어 중소기업에게는 적지않은 부담이다.

기술사업화의 실무기관인 한국기술거래소는 중소기업의 비용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2005년 산업자원부 등 기술평가정보를 생산하는 18개 기관의 협의회를 구성, '기술평가정보 유통협력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6만7,000여 건의 기술평가와 관련한 정보를 온라인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기술평가정보 유통시스템(FIRSTEP, www.firstep.or.kr)'을 구축, 무료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