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택시부제 해제·시내버스 연장운행

철도·서울지하철 노조 내일 파업 강행 땐<br>건교부 비상대책 마련

택시부제 해제·시내버스 연장운행 철도·서울지하철 노조 내달 1일 파업 강행 땐건교부 비상대책 마련 정영현기자 yhchung@sed.co.kr 건설교통부가 철도노조 불법파업에 대비 인력 투입, 대체 교통수단 확보 등의 비상 수송 대책을 내놓았다. 건교부는 3월 1일로 예정된 철도노조 파업과 관련, 합동특별교통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시ㆍ도, 철도공사 등 유관기관에 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비상수송을 위한 특별대책을 마련했다고 27일 밝혔다. 건교부에 따르면 철도노조의 불법파업시 열차 운행 수준은 KTX의 경우 평상시의 34%, 지역간 여객열차 16%, 수도권 전철 39%, 화물열차 18% 등 전체적으로 평상시의 30% 정도로 떨어질 전망이다. 건교부는 지하철 운행횟수 증대, 수도권 택시부제 해제, 서울-수도권간 시내버스 노선 연장, 첫차 및 막차 시간 조정, 셔틀버스 투입 등 대체 교통수단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서울시의 경우 지하철 1ㆍ3ㆍ4호선 서울 시내 구간을 1일 810회에서 860회로 늘려 운행하고 서울 시내버스 26개 노선 649대를 서울시계 바깥까지 운행하도록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교통상황에 따라 셔틀버스 1,769대를 투입하고 시내버스 막차 시간을 1시간 연장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인천-서울간 광역버스 32대를 추가 투입해 운행횟수를 202회로 늘리고 인천시 전철역-서울간 시내버스도 11개 노선에 71대를 추가투입, 1일 284회 운행하기로 했다. 시내버스 막차시간 역시 1시간 연장한다. 한편 민주노총은 전국민중연대, 민주노동당 등과 함께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철도, 지하철에 대한 노동탄압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철도와 지하철 파업이 직권중재에 회부될 경우 정부가 노사ㆍ노정관계를 운운할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드러내는 셈이 된다”고 강조했다. 파업 돌입을 이틀 앞둔 철도노조와 서울메트로노조는 이날도 사측과 교섭을 열고 의견조율에 나섰지만 인력충원, 해고자복직, 근무형태 조정 등 핵심쟁점을 둘러싸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입력시간 : 2006/02/27 17:5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