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 연구진 '신체 성장 조절' 비밀 풀었다

김빛내리 교수팀, 마이크로 RNA·표적유전자 조절작용 규명<br>연구결과 '셀' 게재


국내 연구팀이 신체 성장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와 그 표적유전자를 발견했다. 서울대 생명과학과 김빛내리(사진) 교수팀은 마이크로RNA와 표적유전자가 인슐린 신호를 제어해 세포 성장과 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암ㆍ당뇨ㆍ노화 등 인슐린 관련 질병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지인 ‘셀(Cell)’지 11일자에 게재된다. 김 교수팀은 초파리의 마이크로RNA(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 중 하나인 miR-8이 없어질 경우 난쟁이 초파리가 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 마이크로RNA가 초파리 유년기 시절에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을 촉진시켜 신체 성장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이 마이크로RNA는 ‘USH’라는 표적유전자를 제어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방식으로 인슐린 신호전달을 조절한다는 사실도 밝혀냈으며 마이크로RNA를 통한 조절 작용이 사람의 세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인슐린 신호 전달은 발생 과정에서도 중요할 뿐 아니라 암, 당뇨, 노화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서 “이번 연구는 마이크로RNA와 인간의 질병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