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노르웨이 석유勞使에 중재명령

파업사태 해결나서…국제유가 오름세 진정될듯

세계 3위 석유 수출국인 노르웨이에서 석유회사들의 노사분규가 일어나 국제유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노르웨이 정부가 강제중재명령을 내렸다. 24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석유텍사스중질유(WTI) 선물가격은 노르웨이 석유회사가 직장폐쇄를 경고하자 전일보다 36센트 오른 배럴당 37.93달러에 마감했다. 또 북해산 브렌트유 8월 인도분 가격도 27센트 오른 35.30달러를 기록했다. 이처럼 노르웨이 석유회사의 직장폐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노르웨이 정부는 25일 노조의 파업과 사측의 직장폐쇄는 국가경제와 석유수출국으로서의 국제평가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강제중재명령을 발동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석유근로자노동조합연맹(FOWTU)의 파업에 대해 사용자측인 석유산업협회가 오는 28일 직장폐쇄를 단행할 것이라고 경고한지 하루만에 나온 것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정부의 중재명령이 내려지면 파업 참가자들은 직장에 복귀하고 사용자측은 예고된 직장폐쇄를 철회해야 하며 정부 중재에 따라 새로운 협상이 시도된다. 이에 따라 중동지역 정국불안과 노르웨이 석유회사 파업사태가 맞물려 국제유가가 다시 오름세를 보일 수 있다는 우려는 다소 진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직장폐쇄조치가 이뤄질 경우 하루 평균 330만배럴의 원유생산과 2억평방미터의 천연가스 생산이 전면 중단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노르웨이 석유 노동자들은 지난 18일부터 고용안정과 연금확대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으며 지금까지 노조 파업에 따른 원유생산 감소분은 하루 37만5,000배럴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르웨이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에 이어 세계 3위의 산유국이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