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규모가 계속 커지면서 조(兆)단위의 1만배에 해당하는 경(京)단위 통계수치를 사용하는 때가 5년 내로 닥칠 전망이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민간의 총금융자산은 4,670조원에 달하며 금융자산의 연간 증가율이 15%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오는 2009년께 1경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또 총유동성(M3)은 현재 1,200조원이 넘으며 한은은 M3 통화에 제외돼 있는 국공채와 회사채ㆍ유가증권 등과 민간 금융상품까지 포괄하는 최광의 유동성지표 ‘L’의 개발을 추진 중이어서 ‘L’이 도입될 경우 최광의의 유동성 총액이 경단위에 한층 근접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현재 1,200조원 수준인 M3에 관해 외국기관에 보내는 공문에 기재하거나 외국 금융기관 관계자들에게 설명할 때 1.2 쿼드릴리언(quadrillion)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외국인들에게도 10의 5승을 뜻하는 쿼드릴리언이 무척 생소한 단어여서 이를 설명하는 데 애를 먹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 내부의 분위기는 경제통계 단위의 최대수치가 1경원을 넘어서기 전에 정책적으로 화폐 액면단위 변경(디노미네이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윤혜경기자 light@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