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포ㆍ파주 신도시 건설] 서울도심 연계 교통대책 없어

만성적인 교통난을 겪고 있는 김포와 파주에 각각 21만명과 14만명 규모의 신도시가 조성됨에 따라 더욱 심각한 교통난이 예고 되고 있다. 김포와 파주는 지난 해 9ㆍ4대책에서 발표한 신도시 후보지 6곳에 포함되지 않았던 곳인데다 6월 말 확정되는 수도권 북부 광역교통개선대책도 신도시 건설을 전제한 대책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 신도시와 서울외곽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이 추가로 구축되더라도 서울 도심과 연계되는 교통대책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과거 평촌, 일산 등 신도시 개발에서 경험한 것처럼 서울 도심진입 차량 증가에 따른 서울도심 교통난 가중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기 때문. 한 교통문제 전문가는 “언제까지 서울에서 40∼50㎞ 떨어진 지역에서 서울 출퇴근을 전제로 한 교통대책을 세울 것이냐”면서 “자족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의 신도시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포신도시=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는 김포선 전철(19.7㎞, 개화 차량기지∼김포양촌)을 건설하고, 올림픽대로∼김포양촌(15㎞)과 외발산∼김포양촌(21㎞) 2개 노선의 고속화도로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투자재원은 김포신도시 건설로 발생하는 개발이익 전부를 광역교통시설에 투자해 김포지역의 만성적인 교통난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2001년 말 김포∼서울 도로용량 대비 교통량이 1.03에서 김포선 전철이 개통되는 2010년에는 0.8로 개선된다는 것. 또 대중교통 지향적 신도시 건설을 위해 전철과 광역버스 등 대중교통 정차장 중심의 압축개발을 추진하고 궤도형 버스전용도로 등 신교통수단을 도입해 교통혼잡비용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파주신도시= 수도권 서북부의 고양ㆍ파주권 교통대책에 포함된 제2자유로(12.5㎞)와 2008년 완료 예정인 경의선 복선화 공사를 통해 파주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수요를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제2자유로를 포함, 서울∼문산 도로(5.3㎞)와 김포∼관산 도로(4.4㎞) 등 모두 7개 노선 41.3㎞의 도로를 건설하고 운정역∼출판문화단지 11.6㎞ 구간의 경전철을 민자 유치사업으로 추진해 고양, 일산, 파주 등 주변지역의 교통난을 함께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2002년 5월 현재 자유로(김포대교-행주대교 구간)의 도로용량 대비 교통량은 0.94에서 제2자유로 등 7개 노선이 확충되면 0.82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철균기자 fusioncj@sed.co.kr>

관련기사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