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이달 금리 동결할듯

경기 급강하따라 '인하 시그널' 보낼 가능성

미국 등이 조만간 정책 금리를 내릴 것이 유력한 가운데 오는 9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 경기둔화 속에서도 물가와 환율이 불안하기 때문이다. 이성태 한은 총재도 지난 9월 금리 변화를 가늠할 시그널을 주지 않았다. 경제계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통화당국의 정책 스탠스가 바뀔지에 모아지고 있다. 최근 미 금융발 위기가 실물경제로 전이되면서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고 있는데다 국내에서도 소비ㆍ투자ㆍ생산 등 모든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빠르게 나빠지면서 통화정책 완화가 예상보다 앞당겨지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실제 미국 내 자동차판매가 15년 만에 100만대 밑으로 추락하는 등 금융위기 여파로 실물경제가 눈에 띄게 충격을 받기 시작했으며 국내에서도 8월 광공업생산이 11개월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치고 투자선행지표인 기계수주와 건설수주는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실물경제 붕괴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경제지표 둔화로 통화정책 완화 시기가 빨라지지 않겠느냐는 인식이 팽배해졌다”며 “10월 금통위에서 당장 금리를 내릴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지만 통화정책의 기조가 물가에서 경기 쪽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점쳐진다”고 분석했다. 한은도 지난번 금통위 당시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하는 뉘앙스를 풍겼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6%를 기록했던 9월 금통위에서 한은은 이례적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완화와 더불어 성장 모멘텀 약화 방지에 주력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 역시 “국가 전체적인 입장에서 하반기 성장률이 3%대로 떨어지는 것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경기침체에 고민이 많음을 내비쳤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소비자물가가 5.1%로 떨어지고 경기침체가 더욱 심화되는 이달에는 경기하강을 우려하는 당국의 메시지가 더욱 강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이달은 아니더라도 연말께나 늦어도 내년 초에는 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확률이 높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금융연구실장은 “소비자물가가 하락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만만한 수준이 아니고 유가도 떨어졌지만 국제 원유시장이 불안정하다”면서 “다만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경기하강을 고려해 인하 신호를 보낼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