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車 노사공동협의체 상설기구운영 합의

현대·기아·쌍용차 확정 GM대우·르노삼성은 미정

車 노사공동협의체 상설기구운영 합의 내달중 출범키로 • 산별노조 전환 '기폭제' 예상 김동진(왼쪽 세번째) 자동차공업협회장과 이상욱(두번째) 금속연맹자동차분과위원장이 2일 서울 등촌동 자동차공업협회에서 열린 자동차노사협의체 조인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국내 자동차회사들이 한국자동차공업협회(KAMA)를 자동차회사들의 대표단체로 정해 각 자동차회사 노조와 공동으로 '자동차산업 노사공동협의체'를 상설기구로 운영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기업이 아닌 특정 산업 차원에서 노사 공동기구가 설치된 것은 우리나라 노동운동사에서 이례적인 일이며 특히 그간 노사대립의 핵심사업장인 자동차 노사가 상설대화 창구를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큰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 9월 민주노총의 복귀로 정상화가 예고돼 있는 노사정위원회가 산업별 형태로 어떻게 운영될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모델'로도 주목을 받게 될 전망이다. 김동진 한국자동차공업협회장(현대차 부회장)과 이상욱 금속연맹 자동차 분과의장(현대차 노조위원장)은 2일 '국내자동차 산업을 위한 협약서'를 체결한 후 8월 중 '자동차분야 노사공동협의체'를 출범하기로 합의했다. 상설기구로 운영될 노사공동협의체는 자동차업계의 비정규직 문제와 공장 해외이전에 따른 산업공동화방지, 실업 및 고용창출 문제, 미래친환경 개발, 인력 개발, 대정부 공동사업 등 자동차산업의 전반적인 문제에 관해 노사간 입장을 조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자동차업계의 노사는 이 기구를 통해서는 그간 금속연맹이 주장해온 사회공헌기금 문제는 직접 다루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이 기구 출범이 사회공헌기금 조성논의에 대해 사측이 절충점을 찾는 과정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노동계는 고무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민주노총은 그간 "업종별로 진행되고 있는 사회공헌기금 조성논의를 산별노조 사측 협상당사자인 사용자단체를 확인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혀왔다. 정승량기자 schung@sed.co.kr 한동수기자 bestg@sed.co.kr 입력시간 : 2004-07-02 17: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