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강정 한약' 잘못 먹으면 큰코 다친다

열성위주 처방땐 발기부전정력을 강하게 한다는 '강정한약'도 잘못 먹으면 정력 보강보다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왔다. 백구한의원 강재만(02-591-0109) 원장은 "정력은 양기(陽氣)와 관계가 있지만 그렇다고 열성(熱性) 약 위주로 처방하면 화(火)가 지나쳐 발기부전 등 또 다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면서 "발기부전의 경우 심장과 간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 원장은 "따라서 강정효과가 있는 한약을 복용한 후에도 효과가 미미했다면 간과 심장의 기능을 보강하는 약재를 쓰면 쉽게 회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양방 발기부전 치료제의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환자들도 많다"면서 "이 같은 경우에도 간과 심장의 기능을 보강하는 한약을 쓰면 자연스럽게 회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 원장에 따르면 간(肝)은 원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폭 넓은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의학에서 간은 피를 필요에 따라 저장하고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간의 혈이 부족하면 발기부전을 초래할 수 있으며, 대사작용이 지나치면 신(腎)의 정액저장 기능이 장애를 받아 조루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바로 잡아 줄 경우 발기부전이 1년 이내 생겼다면 3개월, 일시적 증상이라면 20여 일정도 한약을 복용하면 회복될 수 있다. 젊은 부부가 피임을 하기 위해 성생활을 정상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정불능이나 발기부전을 초래할 수 있고 여성에게는 질동통(膣疼痛)이나 불임을 부르는 원인이 된다. 강 원장은 "정력이 약하다고 열성(熱性) 약을 잘못 쓰면 발기부전 뿐만 아니라 심리적 불안으로 불면증이나 두통도 나타난다"면서 "발기부전은 원인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