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7월 30일] '조용한 외교' 성과는 뭔가

일본의 대유엔 외교는 집요하다. 유엔 일본대표부는 자국의 유엔 활동에 대해 브리핑을 할 때마다 한국 특파원에게 일일이 e메일을 보내 초청한다. 한국 특파원들이 참석한 적은 거의 없지만 이에 개의치 않는다. 일본은 최근 한국 특파원단을 대표부 관저로 초청, 오찬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대사는 브리핑 이후 두툼한 유엔 활동 보고서를 건네줬다. 일본 대표부 간부들은 개별적으로 한국 특파원들을 만나 일본 홍보에 나서기도 한다. 중국 특파원에게도 마찬가지다. 일본 대표부의 의도는 단 한 가지다. 미국 다음으로 많은 유엔 분담금을 내는 일본이 유엔 안보리 상임위위원회에 진출하겠다는 목표가 그것이다. 안보리 진출에 반대하는 한국과 중국을 설득하기 위해 치밀한 지구전을 펴는 일본의 전략을 대하면 섬뜩한 느낌마저 든다. 독도기술 문제로 한일관계가 다시 급랭하고 있다. 취임 초기에 과거사 문제는 거론하지 않겠다고 한 이명박 정부는 일본의 도발에 ‘조용한 외교’를 접었다. 주일 대사를 소환하고 독도 주변 해역에 대한 개발 청사진을 발표하는 등 맞불 대응에 나섰다. 한국 정부가 ‘조용한 외교’를 외치다 강경 대응으로 선회한 것은 비단 이번만이 아니다.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으로 독도 문제가 표면화하자 참여정부는 해마다 두 차례 열던 한일 셔틀외교를 중단했다. 좀더 멀리 가면 “버르장머리를 고쳐주겠다”던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에는 독도 접안부두 준공식을 독도가 아닌 울릉도에 치르는 해프닝이 빚어졌다. 당시 현역 최다선의원으로 YS의 측근이던 신상우 해양수산부 초대 장관조차 ‘조용한 외교’에 밀려 외교부로부터 독도 상륙허가를 받지 못했던 것이다. 새 정부의 강경대응에 일본의 우파 신문인 산케이신문은 늘 그랬듯이 ‘국면 전환용’이라는 상투적인 논리로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 일본 우파 언론들의 이런 폄훼를 떠나 한국의 대일 외교는 상대방에 너무 패를 보인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외교부의 ‘조용한 외교’는 요란하게 대응하다가는 독도의 국제 분쟁화를 노린 일본의 의도에 말려들 수 있다는 논리에서 비롯된다. 일리가 있기는 하다. 그렇다면 우리 외교관들은 수십년 전 수립한 ‘조용한 외교’를 해외에서 얼마나 수행했는지 묻고 싶다. 혹 침묵하고, 모른 척하고 지낸 것은 아닌지. 한국이 ‘조용히’ 지내는 사이 미국 지명위원회(BGN)는 독도를 ‘주권 미지정 지역’으로 변경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