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항공안전 2등급' 판정이후 피해 속출

아메리칸 항공등 코드셰어 중단·연기미 연방항공청(FAA)이 우리나라를 항공안전위험국(2등급)으로 판정한 것과 관련, 국적항공사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FAA의 2등급 판정이 내려진 다음날(18일) 오후 제휴사인 아메리칸항공(AA)으로부터 코드셰어(code shareㆍ좌석공유) 중단통보를 받았고 델타항공은 대한항공과의 코드셰어 복원계획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아시아나 태평양 노선 승객과 화물수송 타격 로스앤젤레스와 뉴욕ㆍ샌프란시스코ㆍ시애틀 등 4개 도시를 직항했던 아시아나항공은 지금까지 아메리칸항공과의 코드셰어로 7개 도시에 취항해왔다. 그러나 코드셰어가 중단돼 아시아나항공은 아메리칸항공을 통한 대리판매가 불가능해져 태평양 노선의 승객과 화물수송에 타격을 입게 됐다. 우리나라 승객 입장에서는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으나 미국에서 출발하는 교포나 현지인들은 앞으로 아메리칸항공의 이름으로 서울행 티켓을 구입할 수 없고 이미 아메리칸항공으로 예약을 마친 승객은 아시아나항공이나 다른 항공사로 예약을 변경해야 한다. 다만 두 회사간 마일리지 공유는 별도의 계약에 의해 이뤄져 계속 유지된다. 아시아나측은 이번 코드셰어 중단으로 승객 부문에서 연간 1,200만달러, 화물 부문에서 400만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스카이팀 무산 대한항공과 세계적 항공동맹체인 '스카이팀(SKY TEAM)'을 구성하고 있는 델타항공은 FAA 판정 직후 업무제휴사인 대한항공과의 항공권 코드셰어 협상계획을 연기한다고 18일 발표했다. 토드 클레이 대변인은 "대한항공이 지금까지 취해온 조치들에 대단히 만족하고 있어 연말까지 코드셰어 문제를 마무리할 예정이었으나 FAA의 조치로 이를 연기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오는 11월 지난 97년의 괌 사고 이후 4년 만에 괌ㆍ사이판 노선을 복원하려던 대한항공의 노력도 상당 부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대한항공은 서울~괌ㆍ사이판 노선에 주7회씩 재취항하기 위해 구체적인 지점 개설, 현지인력 고용 방안 등에 대해 이미 실무준비를 시작한 상태였으며 현지에서는 대한항공 재취항으로 관광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예측해왔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