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기업 도우미] 한국산업단지공단

産團 혁신클러스터화 추진

산업단지공단 직원들이 노후화된 산업단지 기반시설 개선을 위해 입주업체 대표들과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중소기업 도우미] 한국산업단지공단 産團 혁신클러스터화 추진 이현호 기자 hhlee@sed.co.kr 산업단지공단 직원들이 노후화된 산업단지 기반시설 개선을 위해 입주업체 대표들과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관련기사 • 中企협동조합중앙회 • 중소기업진흥공단 • 중기기술정보진흥원 • 한국디자인진흥원 • 대·중소기업협력재단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법’에 따라 전국의 30개 국가산업단지를 관리하는 산업자원부 산하기관이다. 산단공은 산업단지 개발 및 입주기업 지원시설 확충, 산업입지정책 연구 및 산업단지 경제동향 조사ㆍ분석, 공장설립 및 기업 지방이전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해 왔다. 지난해부터 노후화된 공단을 산ㆍ학ㆍ연이 연계되는 새로운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로 육성하는 혁신클러스터화와 구조고도화 사업을 핵심과제로 선정, 본격 추진하고 있다. 혁신클러스터화는 지식ㆍ기술ㆍ정보 등 경영혁신요소의 교류ㆍ협력ㆍ지원을 통해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해결해줌으로써 경쟁력을 높여주는 사업. 참여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2004년부터 전국 7개 시범단지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올해 국비 462억여원을 지원받아 수도권과 지역간 균형발전 추진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산ㆍ학ㆍ연 전문가 풀(Pool)을 운영하고, 시범단지별로 특성화사업을 추진하는 등 ‘한국형 클러스터’ 창출에 힘쓰고 있다. 이와 함께 낙후된 산업단지의 교통ㆍ물류ㆍ환경 등 기반시설 여건을 개선, 경쟁력을 높여주는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선 서울 구로디지털산업단지와 반월ㆍ시화산업단지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지난 5월 착공한 개성공단 아파트형 공장 건립사업, 남북경협 아카데미 등 남북 경협사업도 가속화하고 있다. 산단공은 이 같은 사업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를 예방하고, 전통 제조업체의 경쟁력 확보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방침이다. 산단공은 입주기업의 자금난 해소와 지역특화사업 육성을 위해 올해 1,100억원의 정책자금을 집행한다. 전체 정책자금 중 500억원은 산업단지 입주 공장의 노후시설 개선 및 업종전환 촉진에 사용된다. 업체별 지원한도는 20억원이다. 나머지 600억원은 지역산업발전자금으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지원자금으로 활용된다. 입주기업의 해외시장 개척도 지원한다. 해외기업과의 기술교류 확대를 지원하고, 시장개척단ㆍ기술교류단도 파견한다. [인터뷰] 김칠두 이사장 "美 실리콘밸리 등과 교류 확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그 토대가 되는 국가산업단지의 혁신클러스터화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 시급합니다.” 전국의 국가산업단지 관리를 총괄하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김칠두(사진) 이사장은 “이제는 지방의 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이 되는 시대”라며 “국가산업단지를 거점으로 지방의 생산활동을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거 고도성장의 기반이 됐던 국가산업단지의 역할이 바뀌고 있다는 게 김 이사장의 판단. 수출 중심의 단순 제조업 위주에서 최첨단산업으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뒤쳐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 국가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절반을 차지하고 수출의 71%, 고용의 37%를 담당한다. 김 이사장은 “전국 7개 시범단지를 중심으로 연구개발과 기업지원 서비스를 연결하는 혁신클러스터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부터는 미국 실리콘밸리, 중국의 중관춘 등 세계적인 클러스터와 국제교류협력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본사 조직을 축소하고 산업단지별 특성화 사업을 적극 유도하기 위해 지역책임경영을 강화, 산업단지관리공단이 관리기관에서 혁신지원 전문기관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입력시간 : 2006/06/19 18:3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