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개인 질병정보 전산 관리한다

이르면 2006년부터…질높은 진료 가능해줘

이르면 오는 2006년부터 개인 병력(病歷)이 전산 관리된다. 환자의 모든 질병ㆍ진료 정보 등이 컴퓨터에 입력돼 어떤 병원을 가든지 이 같은 개인 자료를 토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환자 상태를 처음부터 살펴보기 위한 불필요한 진료가 없어지게 되고 환자 입장에서도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해 일일이 설명할 필요가 없어지는 대신 짧은 시간에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모든 병원의 ‘주치의화’가 가능해지는 셈이다. 그러나 개인의 병력을 인터넷에 올리면 해킹 등을 통해 자료유출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파문이 예상된다. 보건복지부는 진료 전산화를 조기 구축하기로 하고 병원 용어 표준화와 질병별 코드화 등 기초작업과 함께 각 병원간 개인 진료 자료를 호환할 수 있는 전송표준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서울대 분당병원 정도가 진료 전산화를 실시, ‘종이 없는 병원’을 실현하고 있으나 이를 2006년부터 일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시범 실시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개인 자료에는 각종 진료기록과 약 처방 내역, 의사 소견 등 환자의 몸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기게 된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진료 전산화가 이뤄지면 평생건강관리체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 질병관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진료 전산화를 위한 로드맵을 조만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진료 전산화가 실시될 경우 개인 병력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며 “미국의 경우 개인 진료카드를 지급, 이를 통해서만 신상을 알 수 있게 하고 있어 우리도 이 방식을 차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