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포항공대, 벼 유전자기능 대량분석기술 첫 개발

최근 다국적 연구팀에 의해 벼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진 가운데 이들 벼 유전자의 기능을 대량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신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포항공대 안진흥 교수팀은 과학기술부 프론티어사업단의 하나인 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단장 최양도)의 지원으로, 벼 돌연변이에서 추출한 DNA를 집적화 해 각유전자의 기능을 대량분석할 수 있는 `돌연변이 DNA 집단(DNA풀)'을 세계 처음으로 구축했다고 21일 밝혔다. 돌연변이 DNA집단은 인위적으로 대량 생산한 벼의 돌연변이체에서 DNA를 추출한뒤 이들 DNA를 500개씩 모아 만든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특정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된 돌연변이체를 추적, 확인함으로써 각 유전자의 기능을 알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미 국내 6개 실험실과 외국 2개 실험실에 이번 돌연변이 DNA집단을 배포, 유용성을 검증받았다고 덧붙였다. 안 교수는 "돌연변이체 DNA집단을 이용한 유전자 기능연구는 다른 식물이나 동물에서 많이 이용됐지만 벼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앞으로 벼의 유전자기능을 밝히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문병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