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ISTI의 과학향기] 눈동자도 늙는다


우리 몸의 어느 신체 부위도 나이가 들면 기능이 쇠퇴하게 마련이다. 눈도 예외는 아니다. 누구나 늙으면 노안(老眼)이 온다. 눈이 늙으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이 수정체의 노화현상에서 오는 시력 저하. 우리 눈 속에서 카메라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와 그것을 움직이는 근육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빛의 통과를 방해하기 때문에 사물이 흐리게 보인다. 시력이 가장 좋을 때는 17세이다. 이 때의 시력은 20/20으로 눈의 근육이 최고의 탄력을 갖고, 눈동자도 최대로 커져서 최대한의 빛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20세가 되면 벌써 쇠퇴 현상이 일어나고, 70세가 되면 원거리 시력이 심하게 약해진다. 색깔도 달리 보인다. 파랑색은 더욱 진파랑으로 보이나 노랑은 화려함이 줄어 보이고, 또 보라색을 보는 능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래서 늙은 화가들은 짙은 파랑색과 보라색을 잘 쓰지 않는 경향이 있다. 수정체만 늙는 게 아니다. 눈동자도 늙는다. 사람의 눈을 들여다보면 가운데 투명한 부분인 까만 눈동자, 그리고 그 주위로 반 투명한 결막으로 덮여 있는 희고 불투명한 눈의 흰자위(공막)가 가장 먼저 들어온다. 이 흰자위와 까만 눈동자도 나이 들면서 노화 현상을 겪는다. 젊은 시절 티 없이 맑고 투명했던 흰자위는 세월이 흐르면서 조금씩 누렇게 변해 간다, 흰자위가 혼탁한 색상을 띠는 것은 공막에 칼슘이나 지방, 콜레스테롤의 침착이 점점 늘어나기 때문이다. 까만 눈동자 역시 투명도가 떨어지고 색깔도 다르게 변한다. 동양인과 달리 서양인의 눈동자 색은 각양각색이다. 청색, 녹색, 갈색 등등. 눈동자 색은 피부색과 마찬가지로 홍채 안에 있는 갈색 색소인 멜라닌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모든 인종을 망라하고 멜라닌이 가장 집중된 곳은 눈동자이다. 초롱초롱 빛나는 아름다운 색깔의 눈동자가 나이 들면서 변색이 되는 것은 멜라닌 색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멜라닌 색소가 빠져나가면 눈동자의 색 농도 또한 옅어져 까만 눈동자는 갈색, 갈색은 청색, 청색은 녹색, 녹색은 에머랄드빛에 가깝게 변해 간다. 하지만 눈에 확 띌 만큼 변색되는 것이 아니고 원래 색깔보다 다소 옅은 색을 나타내는 정도이다. 이처럼 자연적인 현상과는 반대로 담배연기나 매연, 장시간의 콘택트렌즈 착용과 같은 여러 환경 자극에 눈이 노출되면서 각막에 염증을 겪어 검은 눈동자가 변색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다. 검은 눈동자가 하얗게 변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외상이나 눈 수술 부작용, 각막염 후유증 등이다. 각막에 염증이 생기면 균이 각막을 침투, 파괴되는데 이런 과정에서 투명한 각막이 하얗게 변한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눈동자 문신’이라는 미용수술을 실시하여 안정을 되찾아주고 있다. (글 :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