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증권] 용어해설-다이버전스 등

[증권] 용어해설-다이버전스 등 ■ 이동평균선 정해진 기간 동안의 주가의 합을 다시 기간으로 나눠 만들어낸 평균 주가를 이어서 선으로 이은 것이다. 각 기간 이동평균선의 이격을 분석해 주가의 과열·침체정도를 판단한다. ■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분석한 기법으로 골든크로스는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것이고 데드크로스는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는 것이다. ■ MACD(이동평균 수렴·확산)지표와 다이버전스 장기와 단기의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활용한 지표로 이 지표의 이동평균을 시그널이라고 부른다. ■ 다이버전스 각 기술적 지표의 매수·매도 신호가 주가상황과 같이 움직일때 컨버전스, 반대로 움직일때 다이버전스라고 한다.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면 주가의 추세 하락 국면에서도 강한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 ■ RSI(상대강도지수) 중·장기적인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업종과 종목별로 시장의 인기도를 측정, 종합주가지수와 상대적인 강약을 분석한 지표이다. 보통 75% 이상이면 과열로 경계신호, 25% 이하면 매수신호로 파악된다. ■ 모멘텀 차트 주가의 기울기로 상승·하락의 강도를 사전에 파악하는 지표이다. 모멘텀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면 매수, 반대면 매도신호다. ◇ADL(등락주선)지표=오르고 있는 종목과 내리고 있는 종목의 수를 통해 주식시장의 활동성을 가늠하는 지표이다. 지수가 오르는데도 상승종목수가 줄어든다면 곧 시장이 하락한다는 것이고 반대로 하락장에서 상승종목이 많다면 곧 상승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시간 2000/10/21 20:1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