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화물연대 총파업] 산업계 피해 확산

쌓이는 재고…멈춰선 생산라인… "더이상 버티기 어렵다"<br>전자·철강등 주력 수출업체도 생산중단 '코앞'<br>임직원·군부대 차량 동원등 자구책 불구 한계<br>"1주일이상 장기화땐 수출거래선 끊겨 치명타"

화물연대 운송거부가 물류대란으로 이어지면서 조업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이 현실화하고 있다. 조업중단이 지금까지는 중소 업체에 한정되고 있지만 조만간 주력 수출업체들까지 생산라인 가동을 멈출지 모른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ㆍ철강ㆍ자동차 등 주요 수출업계는 저마다 대체 수송차량 확보에 혈안이 됐다. 현대ㆍ기아차는 차량 수송을 위해 임직원들이 직접 운전대를 잡았고 포스코는 유가상승에 따라 운송료를 정하는 유가연동제를 1개월 단위로 시행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물류가 사실상 마비되면서 “더 이상은 버티기 어렵다”는 하소연이 줄을 잇는 있다. 재고가 공장 앞마당에 쌓이면서 물건을 추가로 만드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몰리고 있는 탓이다. ◇전자ㆍ철강 등 생산중단 코앞=삼성전자와 대우일렉트로닉스 등이 몰려 있는 광주에서는 이미 수출용 컨테이너 차량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화물연대 소속이 아닌 차주를 구하는 방안밖에 없지만 모든 업체가 마찬가지여서 대체 차량을 구하는 데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전체 수출 예정 물량의 30~40%는 공장에서 나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며 한숨지었다. LG전자 창원공장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LG전자의 한 관계자는 “주말까지 나갈 물량은 미리 옮겨놓았지만 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LG는 특히 구미공장 운송 차주들에게 운임 30% 인상안을 제시했지만 거절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전업계는 생산일정 조정을 통한 일시조업 중단으로 하루단위로 버티기에 돌입했다. 하지만 물류마비가 이번주 중반까지 지속되면 생산라인 가동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철강업계에서도 비명소리가 나오고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의 철강 출하가 전면 중단돼 전국 철강업체들에 비상이 걸린 상태. 화물연대 포항지부는 포스코 측에 운송료 30% 인상과 유가연동제 도입을 요구하며 지난 12일부터 전면 운송거부에 들어갔다. 이번 파업에는 전체 800여명의 조합원들은 물론 상당수 비조합원들도 동참, 14일부터 하루 2만5,000톤에 달하는 철강 육송운송이 완전 중단됐다. 운송거부가 장기화될 경우 포스코는 생산물량 자체를 줄여야 할 처지다. 포스코의 제품출하 중단으로 전국 주요 철강회사들도 물량수급을 못해 비상이 걸렸다. 포스코 특수강 등 전국 주요 철강 판매회사들은 기존 재고물량을 긴급 방출하고 있지만 파업이 열흘 이상 장기화되면 물량이 완전 바닥 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물류 체질이 허약한 중소기업들은 더 애를 먹고 있다. 울산의 석고보드 제조업체인 라파즈코리아석고 울산공장은 전날부터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해 공식 조업 중단 첫 사례로 기록됐다. 라파즈코리아석고의 한 관계자는 “화물연대 소속 차량의 운행거부로 11일부터 생산제품을 운송하지 못해 재고물량이 쌓여 공장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13일부터는 화물연대 소속 회원 10여명이 화물차 출입을 막아 조업을 지속할 수 없는 형국인 것으로 알려졌다. ◇직원ㆍ군부대 총동원해보지만…=사정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임직원들이 직접 운송에 나서는 등 특단의 자구책을 내놓는 곳도 나왔다. 현대ㆍ기아차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완성차 운송이 정상량의 50%선에 그치자 직원 400여명이 직접 운전대를 잡았다. 현대차는 9일부터 울산공장에서, 기아차는 13일부터 광주공장에서 수출 및 내수용 완성 차량을 직원들을 통해 양산출고센터 및 담양출고센터 등으로 운송하고 있다. 군부대 차량도 동원됐다. 현대모비스가 생산하는 AS부품에 대해서는 군용 트럭 13대를 지원 받아 납기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신인도 유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자체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공통적인 하소연이다. 무역협회의 한 관계자는 “파업이 1주일 이상 장기화되면 기업의 수출 거래선이 끊어지는 등 피해가 치명적일 수 있다”며 “정부와 화주, 물류업체, 화물연대 간 원만한 협의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