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유아 사교육열 東아시아국 중 최고

우리나라의 유아 사교육열이 동아시아 주요 나라들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 본사를 둔 교육전문기업인 베네세코리아와 한국ㆍ일본ㆍ중국ㆍ대만의 교육 전문가들이 지난해 3월부터 6월까지 서울과 도쿄, 베이징, 상하이, 타이베이 등 5개 도시에 거주하는 만 3∼6세 유아의 부모 6,1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유아 사교육 비율이 72.6%에 달했다. 또 뒤를 이어 베이징 및 상하이가 71.5%를 차지했고 도쿄 61.7%, 타이베이 56.4% 순이었다. 조사대상은 서울이 941명, 도쿄 1,007명, 베이징 992명, 상하이 935명, 타이베이 2,259명이었다. 서울의 유아 부모들은 '자녀에게 어떤 종류의 사교육을 실시하는가'라는 질문에 학습지(53%)를 가장 많이 꼽았고 미술(16.1%), 영어회화 등 어학학원(11.2%)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 지역 연구ㆍ조사를 맡았던 이기숙 이화여대 교수는 3일 "우리나라는 다양하고 저렴한 학습지가 많기 때문에 학습지 사교육을 많이 시키는 것 같다"며 "그러나 이런 교육형태는 주입식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면이 상당부분 있다"고 지적했다. 매월 지출하는 사교육비는 상하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상하이는 월 사교육비로 8만∼17만원 지출이 18.5%로 가장 많았고 서울과 도쿄는 모두 5만∼10만원 가량 낸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타이베이는 1만7,000∼3만5,000원을 가장 많이 꼽았고 베이징은 8,500∼1만7,000원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녀의 상위학교 진학 기대감은 중국과 대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 부모 중 71.5%와 타이베이의 61.6%는 자녀가 대학원까지 진학하기를 희망한 반면 도쿄와 서울 부모들은 '대학 졸업까지만 진학하기를 원한다'는 비율이 각각 66.2%와 50%로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