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당뇨 급성합병증 'DKA' 조심을

사망률 10%대…치료중단·혈당조절 안할때 가장 많이 발병<br>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송기호·고승현 교수팀 조사

우리나라 국민의 10명중 1명이 앓고 있는 당뇨병의 급성합병증인 케톤산증(DKA)으로 인한 사망률이 10%대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내분비내과 송기호ㆍ고승현 교수팀이 1982년부터 2003년까지 20년간 가톨릭의대 산하 성바오로병원(서울 청량리), 성가병원(경기도 부천), 성빈센트병원(수원)과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으로 입원한 환자 255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11.8%인 30명이 케톤산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뇨병은 그 자체보다 고혈당 상태로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 합병증이 문제가 되는데 급성 합병증으로는 DKA와 고삼투성 혼수, 저혈당이 주로 발생되며 당뇨가 만성화할 경우 심혈관 및 신장질환, 당뇨망막병증, 족부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특히 DKA는 당뇨병에 의해 발생되는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급성 합병증으로 환자 1,000명당 4~8명이 발생하며 당뇨병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원인의 7%를 차지하고 있다. DKA 환자에 대해 20여년에 걸쳐 분석한 연구는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발표된 바가 거의 없다. 이번 연구결과 최근 각종 당뇨병 치료제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당뇨병성 급성 합병증인 DKA의 발생역시 당뇨병 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분석돼 경각심을 주고 있다. DKA가 발생하는 원인은 당뇨병의 치료를 중단하거나 철저하게 혈당조절을 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DKA가 발생할 경우 약10% 이상이 사망을 하며 사망한 환자는 고령에서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이 가장 많이 차지했다. 송기호 교수는 “당뇨 합병증으로 사망 및 의료비용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문제 수준에 이르렀다”면서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지속적이고도 엄격한 혈당조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교수의 연구결과는 지난 4월1일 영국 당뇨병학회지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이 조절되지 않거나 여러 가지 감염, 수술, 약제 등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체내에 인슐린의 결핍에 의해 혈당의 급격한 상승, 심각한 탈수 및 혈압 또는 의식의 저하, 복부통증 등을 유발하며 체내에 케톤산의 축적으로 인해 산증이 발생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