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신행정수도> 향후 추진일정은

신행정수도 건설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동안 서류상으로만 해 오던 작업이 15일 신행정수도 후보지 발표를 계기로 구체화,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가 이달중 후보지에 대한 비교.평가 작업을 끝낸뒤 내달 초 후보지별 점수를 공개하고 늦어도 8월중에는 최종 입지를 선정할 예정이어서 신행정수도 건설작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우선 신행정수도 건설계획의 개략적인 일정을 보면 8월중 최종입지를 선정한 뒤3개월여 간의 현지 측량작업 등을 거쳐 연말까지 입지를 지정, 고시하게 된다. 신행정수도 입지가 고시되면 내년 1월부터 곧바로 토지수용 작업에 착수하게 되는데 토지보상 기준시점은 내년 1월1일이다. 이후 2006년 6월께 신행정수도 건설 실시계획을 수립한 뒤 이듬해인 2007년 7월기반공사에 착수하게 된다. 아파트 분양은 2009년 상반기로 예정돼 있다. 국가기관은 청와대와 행정부, 사법부, 입법부 기관에서 약 85개 기관이 이전해가게 되는데 일부 청사건립이 완공되는 시점인 2012년 초부터 각 부처 등 행정부 이전을 시작해 2014년을 전후로 이전작업을 모두 마무리하게 된다. 주요 국가기관이 이전한 뒤 기업과 주민들이 뒤따라 입주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신행정수도는 2020년에 인구 30만명, 2030년에 인구 50만명 수준으로 제모습을 갖추게 된다. 한편 신행정수도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은 청사건립비와 이사경비 3조4천여억원을 포함해 총 45조6천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중 정부재정으로 부담할 돈은 11조3천억원이고 나머지 34조3천억원은 민간에서 아파트 분양 등을 통해 조달하게 된다. 정부 부담분 11조3천억원의 경우 신행정수도가 착공되는 2007년부터 신행정수도가 완성되는 2030년까지 연차적으로 나눠 투입되는데 연간으로는 평균 5천억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위원회 관계자는 "큰 부담없이 신행정수도 건설재원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본다"면서 "특히 기존 청사를 매각할 경우 정부 재정부담은 그만큼 더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토지공사는 최근 발표한 `수도권 이전적지 활용방안과 이전 공공청사의 부동산가치'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신행정수도로 옮겨 갈 공공청사 부지의 땅값이최소 4조2천억원에서 최대 15조8천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