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구지하철 파업 한달째 교섭 전면중단

장기화 불가피…조직 개편·근무형태싸고 노사 '양보없는 싸움'

대구지하철 파업사태가 20일로 한달째를 맞이했지만 여전히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안개 속만 헤매고 있다. 특히 지난달 21일 전면파업에 들어간 대구지하철 노사는 한치의 양보도 없이 맞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다 지난 10일 이후에는 노사교섭마저 완전히 끊겨 사상 유례없는 장기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파업의 핵심 쟁점인 근무형태, 임금인상, 2호선 개통에 따른 조직개편안, 노조원 징계철회 등 네 가지 현안 가운데 근무형태ㆍ조직개편안 등 두 가지 쟁점에 대해서는 한걸음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대구지하철 파업의 장기화는 노사 모두는 물론 대구시도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노조는 ‘시민 안전’을 빌미로 파업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자신들의 잇속 채우기에 골몰하는 모습을 보여 시민들의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고 사측은 이러한 분위기를 최대한 활용해 노조의 굴복을 받아내겠다는 속셈이다. 대구시 역시 노사 자율협상에 맡긴다는 이유로 하루 이용객 14만여명의 시민안전은 뒤로 한 채 나몰라라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구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특히 최근 장기파업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정비불량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다. 승객의 생명과 직결된 전동차 검수ㆍ정비업무에 투입된 인력이 파업 이전의 20%선에 머물러 전동차 출발ㆍ도착시 육안으로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데 중점을 둬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다 민노총도 이번 파업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며 대구시청 앞에서 농성에 들어간 데 이어 일본ㆍ뉴질랜드 등 외국 철도 관련 노조에서도 대구지하철 파업을 지지하는 선언을 하는 등 외부의 개입도 잇따라 파업 장기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의회가 ‘지하철 정상화’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는 등 사태 해결을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들은 특히 “대구지하철이 지난해 대형 참사를 일으키는 등 시민들에게 엄청난 고통을 주고서도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은 제대로 하지 않고 제 잇속 챙기기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