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석영, 이 대통령에 깊이 실망했나

"민주주의·남북평화 희망 사라진 것처럼 보여"

'MB 정부는 중도실용정부' 발언으로 논란을 부른 소설가 황석영씨가 사실상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황씨는 8일 한겨레에 기고한 글을 통해 "현 정부는 촛불시위 이후 용산참사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모든 정책을 이른바 '잃어버린 10년'의 반대 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역행한 것이 사실이다. 사회 전반에 걸친 우편향이 가속화하면서 민주주의의 위기가 심화됐다"면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는 자기반성과 변화가 없이는 현 정권의 모든 정치적 가능성이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황씨의 이 같은 주장은 사실상 MB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가 이 같은 주장을 한 데는 이명박 정부의 PSI(대량파괴무기 확산방지구상) 전면 참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그는 "김대중 정부 때는 양쪽의 인명이 살상되는 준전쟁 상황인 서해교전이 두 차례나 있었고 노무현 정부 때도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이 강행됐음에도 불구하고 양 정부의 북에 대한 교류 협력과 평화를 위한 각고의 노력은 지속됐다"면서 "그런데 현 정부의 PSI 전면 참여는 그동안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며 스스로 북과의 대화를 봉쇄한 결과가 됐다"고 말했다. 황씨는 "현 정권의 공약이었던 중도실용은 슬로건에 그쳐버리고 민주주의와 남북의 평화 협력은 실낱같던 희망조차도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면서 이명박 정부를 '중도실용주의'로 규정한 자신의 발언도 번복했다.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해서도 '정부 책임론'을 들먹이며 MB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돌이켜보면 우리 사회 모두가 그를 죽음으로 내몰았다"면서도 "현 정권의 공안당국과 언론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의 상징적인 죽음으로 민주 대 반민주의 전선이 형성되고 있으며, 남북은 전쟁 직전 상태로 진입했다"면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는 자기반성과 변화가 없이는 현 정권의 모든 정치적 가능성이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황씨는 노 전 대통령에 대한 '대중들의 깊고 광범위한 애도'에 대해서는 "작고한 대통령에 대한 후회와 연민의 감정이면서 또한 현재의 정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실망의 표출이라고 본다"고 분석했다. 한편 그는 자신에게 쏟아진 일각의 비난에 대해서는 "비난을 무릅쓰고 (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에 동행한 것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남북 관계에 대한 위기의식 때문이었다"면서 "욕먹을 각오를 했다지만 그 반응은 지나치게 거칠었다. 특히 '변절' 논란은 극단으로 양분된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확인시켜 주었다"면서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