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학·연수비 지출 환란이후 최대폭 감소

환율상승·경기침체 영향 상반기 1억3,770만弗 줄어


환율 상승과 경기침체로 서비스수지 적자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는 유학ㆍ연수비 지출액이 올 상반기 중 10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해외 유학ㆍ연수비 대외지급액은 22억5,58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5.8%인 1억3,770만달러 감소했다. 지급액이 줄어든 것은 일시적으로 환율이 급등한 지난 2001년 이후 7년 만에 처음이고 감소폭으로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다. 상반기 기준으로 유학ㆍ연수비는 1998년 2억220만달러가 급감한 후 1999년(2,890만달러), 2000년(4,820만달러), 2001년(-2,120만달러)까지 큰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2002년부터 급증세를 보이면서 2006년에는 증가액이 5억2,240만달러에 달했고 지난해에도 3억3,570만달러가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2002년 47.1%, 2003년 29.3%, 2004년 32.7%, 2005년 40.7%, 2006년 34.0% 등으로 매년 30~40%대 고공행진을 벌였으나 지난해 16.3%로 둔화된 데 이어 올해는 아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유학ㆍ연수비 지출이 감소세로 반전된 것은 환율 상승과 경기침체가 겹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아울러 유학ㆍ연수의 절대적인 규모 자체가 거의 정점에 달해 더 이상 증가세를 이어가기 어려운 것도 한몫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영어몰입교육을 내건 MB 정부가 출범하면서 추이를 지켜보자는 관망세 확산도 한 원인으로 해석되고 있다. 양재룡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은 “반기 기준으로 매년 급증세를 이어가다가 올해 상반기에 완전히 고꾸라졌다”며 “여러 사정을 감안해볼 때 유학ㆍ연수비 지출 증가가 꼭지를 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