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상생협력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상당수 대기업들은 중소 협력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납품단가 현실화를 비롯해 협력업체에 대한 기술지원 강화, 상생펀드 조성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상생협력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다. 부정적인 시각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만약 대기업에서 주도하는 상생노력이 단기에 그칠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소 효과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상생문화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경영권을 행사하는 대기업 총수가 직접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 대책회의에 대기업 총수들이 참석할 경우 상생협력에 대한 총수들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너의 역할이 거의 절대적이라도 해도 과언인 아닌 기업현실을 감안할 때 대기업 총수가 직접 상생협력을 챙기고 나설 경우 효과가 클 뿐 아니라 장기적인 과제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대기업 총수로서는 처음으로 협력사를 방문해 애로사항을 듣고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해준 김승연 한화 회장의 행보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이후 한화 계열사 CEO와 임원들은 협력업체 방문을 정례화하는 등 상생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지적할 것은 총수들의 대책회의 참석이 압력수단이 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상생협력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어디까지나 자율적으로 추진될 때 효과도 크고 장기간 지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에 의해 등 떠밀려 타율적으로 추진될 경우 일시적 이벤트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그런 점에서 상생협력에 있어 정부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여건을 조성해주는 데 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기업들은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이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된다는 인식전환을 바탕으로 상생에 자발적으로 나서는 풍토를 만들어가야 한다. 상생협력의 자율원칙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자제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