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일부 지방 저축銀 구조조정 나설듯

BIS비율 5% 미만으로 떨어져 금감원 적기시정조치 대상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침체 여파로 건전성이 악화되는 저축은행들이 늘어남에 따라 일부 지방 소재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일부 지방 저축은행들의 경우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으로 떨어져 금융감독원의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되면 BIS 자기자본비율 수치에 따라 금감원으로부터 경영개선권고나 요구, 명령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저축은행은 자본금을 늘려야 하며, 최악의 경우에는 경영권 인도나 영업정지 조치까지 받을 수 있다. 현재 부산의 A저축은행은 6월 말 현재 BIS 비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해 28일 금감원의 경영평가를 받았다. 이 저축은행은 외부투자자 유치를 추진 중이다. 전북의 B저축은행도 BIS 비율이 5%에 미치지 못해 현재 금감원의 검사를 받고 있다. B저축은행도 증자, 은행 매각 등 다각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이다. 이 밖에 경영개선권고 대상인 전북의 C저축은행도 증자하기로 방침을 정했지만 구체적인 시점은 확정하지 못했고, 제주의 D저축은행도 증자계획만 밝혔을 뿐 실제 증자 작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BIS 비율이 5~6%인 지방 저축은행도 상당수에 달하는 데다 경제 여건상 연체비율 등은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어 부실 저축은행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저축은행업계의 고위 관계자는 "요즘 같은 상황에서 증자가 제대로 이뤄질 지 의문인 데다 매각한다고 해도 살 만한 여력을 갖춘 곳이 없다"며 "지방 저축은행의 부실을 키우기보다는 정부 주도로 구조조정을 진행하되 경제여건이 개선된 후 되파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