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사회적 기업 7개 만든다


200억원 투입, 취약계층 자활ㆍ자립 지원 삼성그룹이 사회 취약계층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앞으로 3년 동안 7개의 ‘사회적기업’을 설립한다. 6일 삼성그룹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자활ㆍ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지원 ▦공부방 교사파견 ▦장애인 인력파견 ▦청년 사회적기업가 창업 아카데미를 개설하는 등 향후 3년간 4개 분야에서 총 7개의 사회적 기업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투자비는 200억원이며 고용 인력은 약 400명에 달할 전망이다. 삼성의 이 같은 투자는 단순히 취약계층을 고용한 제조업체의 제품을 구매하는 차원을 넘어, 취약계층에게 교육 및 사회 적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세운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삼성은 우선 다문화가족의 적응, 교육, 소통을 제공하는 사회적기업을 만들 계획이다. 외국인 이주여성과 자녀들이 많은 충북 음성군을 시범 지역으로 선정, 가칭 ‘음성글로벌투게더’를 설립해 이들에게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생활 및 심리상담, 자녀보육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삼성은 ‘음성글로벌투게더’를 벤치마킹의 모델로 정착시켜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가칭 ‘희망네트워크’라는 공부방 지도교사 파견기업도 3곳을 설립한다. 전직 교사, 교사 자격증이 있는 유휴 인력 등을 고용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그동안 삼성이 사회공헌 차원에서 추진해 온 ‘아동 지원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기로 했다. 연내 서울ㆍ경기 지역에 기업을 설립하고 이후 광주ㆍ전남, 충남 등지로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금융 및 제조분야의 ‘장애인 인력파견기업’을 1개씩 세워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훈련을 마친 이들을 삼성 관계사의 콜센터 및 정보처리 등의 분야에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성균관대학교에 ‘사회적기업가 창업 아카데미’를 신설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청년 창업가를 양성할 계획이다. 삼성그룹의 사회적기업 설립을 담당할 삼성사회봉사단의 이창렬 사장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을 설립함으로써 이웃 사회와 함께 소통하고 동반 성장해 나가는 사회적 책임을 적극 수행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대기업의 상생활동 및 기부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사회적기업 설립 및 지원 사업이 대기업의 새로운 사회공헌 활동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삼성 외에 지금까지 포스코, SK, 현대자동차 등이 사회적기업을 설립했거나 설립 계획을 밝혔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7월말 현재 전국에서 355개의 사회적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