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황영기 회장 "될만한 中企는 살린다"

[은행-중소기업 런 투게더] 경영컨설팅 강화등 지원방안 다양화<br>기술력·수익성 갖춘 기업 반드시 회생<br>수수료 수입확대ㆍ인사制 대폭 개선도

황영기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21일 경기침체로 중소기업 부실채권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회생 가능성이 없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과감히 퇴출시키되 기술력과 수익성을 갖춘 기업까지 쓰러지는 사태는 막겠다고 말했다. 될 만한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지원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황 회장은 이와 관련, “필요하다면 중소기업 관련 대손 충당금을 더 쌓고 부실자산을 손실 처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 지원전략 다양화= 황 회장은 “최근 경기악화로 음식ㆍ숙박업 등 소호(SOHO) 연체율이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동산 담보대출 가운데 연립주택 등에서 부실자산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다원화해 추진하겠다는 게 그의 계획이다. 황 회장은 이를 위해 ▦기술력과 영업력을 갖춘 중소기업간에 인수합병(M&A)을 주선해 생존능력과 시너지 효과를 늘리고 ▦중소기업에 대한 경영 컨설팅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 ▦프리워크아웃제도 활성화 ▦중소기업에 대한 직접투자(지분참여)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황 회장은 “일시적인 위험에 처한 기업에 대해서는 부채조정과 만기연장, 금리조정 등을 통해 회생할 수 있도록 적극 도와줄 방침”이라며 “1,000억원 정도의 사모주식펀드(PEF)를 조성해 200억~300억원 정도의 자금을 출자하는 협상을 1~2개 기업과 추진하고 있으며 다음달 중으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익구조, 인사제도 바꾼다= 황 회장은 이와 함께 앞으로 우리은행의 수익구조를 다변화하고 과감한 성과급제를 도입해 인사제도의 혁신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황 회장은 “국내 대부분 은행 순이익의 80%가 이자수익”이라며 “이자수익을 제외한 각종 수수료 수입의 비중을 앞으로 2~3년 내 30~40%까지 높여 선진국 금융기관과 같은 수익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 전략으로 전자뱅킹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LG투자증권 인수를 통해 증권ㆍ투신상품의 판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방카슈랑스ㆍM&A 등을 통해 수수료 수입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인사제도도 대폭 개선하기로 했다. 황 회장은 “그 동안 은행권 인력체계는 제너럴리스트(Generalist) 양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선진 금융기관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Professionalist)가 육성돼야 한다”며 “순환보직을 줄이고 한 분야에 오래 근무하게 해 전문가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임금체계를 성과급 중심으로 개선, 전체 임금의 30% 정도를 성과급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하고 성과급 배분을 위한 재원을 은행이 추가 출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황 회장은 LG투자증권 인수와 관련, “인수를 추진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지만 무리한 금액을 주면서까지 인수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며 “만약 LG투자증권 인수가 좌절될 경우 우리증권 대형화를 통해 증권 관련 분야의 취약점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