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2학년도 대입전형, 어떻게 달라지나

획일적인 대학입시제도가 대학이나 모집단위에 따라 다양화된다.지금까지의 대입제도는 모든 전형요소를 점수화, 이를 일괄합산한 뒤 석차순으로 선발하던 방식었으나 오는 2002학년도부터는 지원자를 전형요소별로 2∼3차례 걸러내는 다단계 전형이나 전형자료의 특정 부분만 보고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 등이 일반화된다. 또 각각의 전형자료를 자격기준 또는 선발기준으로 마음대로 쓸 수도 있고 모집인원을 몇개 부류로 나눠 서로 다른 전형을 통해 선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컨대 한 대학은 지도력과 봉사활동으로 10% 내신과 교과외 성적으로 20% 수능과 심층면접으로 30% 특기로 10% 교과성적을 제외한 모든 전형자료로 30%를 각각 뽑아 정원을 채울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이유는 전형요소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천차만별이기 때문. 수능성적의 경우 총점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대학측이 영역별 원점수나 변환표준점수를 합산해 쓸 수 있지만 가급적 등급을 최저지원자격으로 삼도록 권장된다. 또 모집단위에 따라 일정수준 이상의 영역별 점수나 등급을 요구할 수도 있다. 예컨대 A대학은 전체적인 지원자격으로 총점 등급 1등급을 요구하고 모집단위에따라 영문과는 「언어영역과 외국어영역 1등급 또는 백분위 상위 몇% 이내」를, 물리학과는 「과학탐구영역 2등급 혹은 상위 몇% 이내」를 함께 지원자격으로 삼을 수 있다. 학생부의 교과성적도 전과목의 성적을 반영할 수도 있고, 모집단위에 따라 대학측이 공통 교육과정 중에서 지정하는 일부 과목을 반영할 수도 있으며 학생이 공통 및 선택교육과정에서 자신있게 고르는 일부 과목을 반영하는 방법도 있다. 학생부 가운데 특별활동, 학생회활동, 특기사항, 출결사항, 봉사활동, 지도력, 잠재력 등 비교과활동도 서열화는 곤란할 뿐 아니라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대학이 필요로 할 경우에는 점수화하거나 지원자격으로도 쓰는 것도 가능하다. 논술시험,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도 자료의 성격에 따라 자격기준으로 쓸 수있고 점수화 또는 등급화해 직접적인 합격여부를 결정짓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면접고사도 치르지 않아도 되고, 학생부 기재내용의 단순 확인 절차로만 사용해도 되며 비중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심층면접을 통해 당락을 결정해도 된다. 추천전형을 실시하더라도 추천권을 학교장 뿐만 아니라 담임교사나 교과교사,종교지도자, 교육감, 자치단체장, 산업체 임원 등에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입시가 수험생을 성적 순에 따라 한 줄로 세운 뒤 정원만큼 자르는 제도였다면 2002학년도에는 대학도 학생을 여러 줄로 세울 수 있고 학생도 자신에게 유리한 줄에 설 수 있게 된다. 최석영기자SYCHOI@SED.CO.KR 입력시간 2000/04/19 17:14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