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건설 출자전환] 적자급증 자본 완전잠식 상태

이라크 미수금등 손실처리 적자 2조9,000억현대건설 진로결정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 발표시기만 남았을뿐 출자전환이 사실상 결정된 상태다. 정부와 금융권은 여기에 은행여신 상환유예와 대출금리 인하 등 추가 채무재조정을 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현대건설에 대해 사실상 '워크아웃'이 발동되는 셈이다. 문제는 출자전환의 규모다. 정부는 1~2조원 규모를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예전 대우 워크아웃의 예를 떠올릴 때 자산ㆍ부채 실사결과후 규모가 다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조기 출자전환 추진 배경 정부와 금융권은 당초 영화회계법인의 자산ㆍ부채 실사결과가 드러나는 4월초나 5월말께 출자전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상황이 달라졌다. 결산감사를 맡은 삼일회계법인이 정부의 분식회계 척결의지에 따라 이라크 미수채권 등을 대거 손실처리하면서 적자규모가 2조9,000억원대에 달했기 때문이다. 현대건설로선 자본금(2조1,000억원 규모)과 고 정주영 전명예회장이 현대건설에 유산으로 남겨준 부분까지 모두 까먹게 돼 완전 잠식 상태에 빠진 셈. "현대건설 스스로 감내할 수 없을 정도의 부실이 생길 경우 출자전환을 단행하겠다"던 정부 방침이 현실화한 것이다. ◇차제에 '준 워크아웃' 발동 정기홍 금감원부원장은 "경제와 현대를 동시에 살리는 방향으로 진로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단순 출자전환만 갖고는 부족하다는게 채권단의 판단이다. 여신 상환 유예와 대출금리 인하 등의 조치가 동반돼야 한다는 것. 이는 종전 워크아웃 시스템과 동일한 것으로, '준 워크아웃'이 발동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은행권은 특히 현대건설에 대한 여신조정을 위해 2금융권 협조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서울보증 등 일부 보증기관에는 출자전환을, 다른 2금융권에는 여신금리 인하와 만기연장 등을 요구할 방침인 것으로 전혀졌다. 차제에 현대건설의 유동성을 근본적으로 해소키 위해 추가 신규여신을 제공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출자전환 규모와 감자여부ㆍ경영권 정부원장은 "은행 대출금 정도가 출자전환의 대상이 될 것"이라며 "2금융권이 참여할지는 유동적"이라고 말했다. 12월말 현재 현대건설에 대한 은행권 여신이 1조2,000억원 규모인 점을 감안할 때 1~2조원 사이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영화회계법인의 실사결과에 따라서 잠재부실이 커지고, 이에 따라 채무재조정 규모도 커질 수 있다. 과거 ㈜대우의 경우 약식실사에서 14조5,000억원이었던 채무재조정 규모가 정밀실사후 17조5,000억원까지 늘어난 경험이 있다. 채무재조정과 관련, 필수적인게 감자. 자본금 전액 잠식을 감안할 때 완전감자가 불가피하다. 정몽헌회장 지분을 포함해 현대 오너의 지분이 소멸되는 셈이다. 자연 경영권도 채권단에게로 넘어온다. 채권단은 그러나 정몽헌회장의 거취에 대해서는 확답을 못하고 있다. 현 경영진은 새로운 인물로 채울 수 있지만 대주주 상징성을 감안, 장치혁 고합회장의 선례를 따를 수도 있다. 여기에 대주주에게 추후 회사가 정상화될 때 지분을 우선 매입할 수 있는 '바이백 옵션'을 주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감자와 관련, 관심사가 소액주주 지분 처리. 정부원장은 "감자를 위해선 주총 특별결의가 필요한데 소액주주들이 찬성할리 없으며 이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등감자 가능성을 짙게 시사하는 것이다. ◇부실책임은 어떻게 경영진 물갈이 및 감자와 함께 부실책임 추궁의 화살은 회계법인에게도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삼일회계법인에게는 어찌됐던 과거 부실을 조기에 캐내지 못한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현대건설에 대해 지금까지 나온 자구계획외에 추가로 유동성을 확보할만한 자구계획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