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회] 청년층 이직률 장ㆍ노년층의 3배

청년층 근로자의 일자리 이동비율이 장ㆍ노년층보다 최고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근로자의 일자리 이동비율은 대기업보다 소규모 업체 가 높고 비노조원일수록 직장을 바꾸는 근로자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신광영(사회학) 중앙대 교수가 연구한 ‘계급, 성(性)과 일자리 이동 ’이란 논문에 따르면 한국노동연구원이 매년 조사하는 임금노동패널 1~4차연도(98∼2001년) 자료 중 근로자 2,501명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에 30.2%인 756명이 1회 이상 직장이동을 경험했다. 직장이동을 경험한 근로자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세 미만 청년층의경우 50세 이상 장ㆍ노년층에 비해 IMF 직후인 지난 98~99년에 2.0배 높았 지만 2000~2001년에는 3.34배로 더욱 커졌다. 99~2000년에는 기업체마다 전체 연령층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단행되면서 청년층과 장ㆍ노 년층의 일자리 이동비율에 차이가 없었다. 또 종업원 규모별로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업체 근로자의 이동비율이 1,000명 이상 대기업에 비해 98~99년에 1.7배 높았지만 99~2000년에는 2.54배 , 2000∼2001년에는 2.22배에 달했다. 근로자의 노조가입 여부도 일자리 이동에 영향을 미쳐 비노조원의 노조원대비 직장이동 비율이 98~99년에 1.66배에서 99~2000년에는 2.53배 등으로 증가했다. 신 교수는 “근로자의 일자리 이동 가능성은 학력이나 계급보다는 연령에큰 영향을 받고 사업장 규모나 노조가입 여부 등 자신이 속한 조직의 속성 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났다”며 “일자리 이동비율이 높은 계층일수록 불안정성이 큰 만큼 특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등 정책적 대응방안이 필 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